"부처·하늘·마음이 하나"…수운교 종교화, 등록문화유산 된다
국가유산청, 등록 예고…'칠곡 구 왜관성당'·영화 '낙동강' 등 5건은 등록
X
'수운교 삼천대천세계도' [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사발신지=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1923년 창시된 민족 종교인 수운교의 가르침을 담은 그림이 국가등록문화유산이 된다.
국가유산청은 '수운교 삼천대천세계도'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할 예정이라고 13일 예고했다.
수운교는 동학 계통의 신종교로 알려져 있다. 수운은 동학을 창시한 최제우(1824∼1864)의 호 '수운'(水雲)에서 따온 명칭이라고 국가유산청은 전했다.
1929년 제작된 삼천대천세계도는 수운교의 세계관을 한 폭으로 그린 종교화다.
불교에서 수미산을 중심으로 한 우주관을 표현한 종교 그림인 수미세계도(須彌世界圖)의 형식을 빌려 교리를 담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X
'칠곡 구 왜관성당' [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가로 239.5㎝, 세로 162㎝ 크기의 화면을 세 부분으로 구분해 각각 부처, 하늘, 인간을 뜻하는 무량천계, 도솔천계, 인간계를 그림으로 표현했다.
국가유산청은 "불계(佛界)·천계(天界)·인계(人界)의 하늘이 하나이고, 부처·하늘(하날님)·인간의 마음도 하나라는 불천심일원(佛天心一圓) 교리를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림의 제작 기법이나 표현 양식 등을 볼 때 근대기 화풍을 잘 반영한 점도 눈에 띈다.
국가유산청은 예고 기간 30일 동안 다양한 의견을 검토한 뒤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을 확정할 계획이다.
X
영화 '낙동강' 사진 [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국가유산청은 이날 '칠곡 구(舊) 왜관성당'과 영화 '낙동강'·'돈'·'하녀'·'성춘향' 등 총 5건은 각각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확정했다.
칠곡 구 왜관성당은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 소속 건물로 역사적 가치가 크다는 평가를 받는다.
1928년 경북 최초의 천주교 본당인 가실본당 소속 공소에서 본당으로 승격되면서 건립된 예배당 건물로, 현재까지 원형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다.
본당은 주임 신부가 상주하는 성당을 뜻하며, 공소는 본당보다 작은 단위로 주임 신부가 상주하지 않는 예배소나 그 구역을 일컫는다.
1950∼1960년대 제작된 영화 4편은 당시 한국 사회와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 여겨진다.
X
'국가등록문화유산'이 된 영화들 왼쪽부터 영화 '돈'. '하녀', '성춘향' 관련 사진 [국가유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yes@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