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전체 메뉴
전체 메뉴
뉴스
교계
불교
타종교
정치·경제·사회·기타
해외
문화
문화일반
학술
문학
출판
역사바로세우기
기획·연재
특집
연재
수행·신행
교학
경전
교리
수행
신행
지대방
인물
사고
기고
대전·세종·충청
세종
대전
충청
뉴스
교계
불교
타종교
정치·경제·사회·기타
해외
문화
문화일반
학술
문학
출판
역사바로세우기
기획·연재
특집
연재
수행·신행
교학
경전
교리
수행
신행
지대방
인물
사고
기고
대전·세종·충청
세종
대전
충청
전체 기사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뉴스
문화
역사바로세우기
기획·연재
수행·신행
지대방
대전·세종·충청
불교일보 소개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수행·신행
수행·신행
수행·신행 전체
교학
수행
신행
다음
이전
수행
『능가경』의 수행론[8]
2. 『능가경』의 보살 10지(菩薩十地) 수행론종상스님(본지 발행인) 1) 대승 보살과 십지 『능가경』은 대혜보살이 질문하고 부처님이 대답하는 형식으로 구성된 경전임은 이미 지적하였다. 그런데 대혜보살의 질문은 다른 경전과는 좀 다르다. 정종분(正宗分) 시작과 함께 대혜보살이 부처님을 게송으로 찬탄하고 나서 108가지의
불교일보
2025.03.18 21:56
수행
『능가경』의 수행론[7]
1. 『능가경』과 보살수행 종상스님(본지 발행인) 대부분 경전에는 청법자(請法)을 하는 질문자가 있고, 이에 답변하는 부처님이 있다. 답변자는 부처님의 인정을 받은 보살이나 장자가 대신하기도 한다. 물론 질문자 없이 부처님 스스로 설한 자설(自說) 경전이 없는 것은 아니다. 『아미타경』이 여기에 해당한다. 그러나 대
불교일보
2025.03.18 21:52
수행
『능가경』의 수행론[6]
Ⅲ. 『능가경』의 수행론종상스님(본지 발행인) 불교의 목적이 깨달음에 있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하지 않을 것이다. ‘목적’의 사전적 의미는 그 어떤 것을 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 실현하고자 하는 목표의 관념. 또는 목표로 향하는 긴장, 실천 의지에 따라 선택하여 세운 행위의 목표이다. 불교의 팔만대장경이
불교일보
2025.03.13 19:28
수행
『능가경』의 수행론[5]
3. 『능가경』의 사상사적 위치{2}종상스님(본지발행인) 『능가경』에서 여래장 사상을 설하는 것은 2품과 4품이다. 제2품은 여래장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무아 여래장의 개념을 제시하여 여래장도 무아의 경지 안에 있는 것임을 밝힌 점이다. 제4품의 주된 내용은 아뢰야식이라는 여래장설을 전개하고
불교일보
2025.03.13 17:26
경전
"나는 멈추지 않고, 아등바등하지 않고 폭류를 건넜다."
□『상윳따 니까야Samyutta Nikaya』 폭류° 경(S1:1) Ogha Suttaṃ (불교일보=빤냐까라 기자 정리) 이와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고귀한 분 바가바(Bhagavā,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는 사왓티 근처 제따숲, 아나타빤디까 원림(급고독원)에 머물고 계셨다. 그때 어떤 천신이 밤이 깊어지자, 제타 숲
불교일보
2025.03.06 14:11
수행
『능가경』의 수행론[4]
『능가경』의 수행론[4] 종상스님(본지 발행인) 3. 『능가경』의 사상사적 위치 『능가경』의 사상적 위치에 관해서 중국 당나라의 불교 학자 이통현(李通玄, 635~730) 장자는 『신화엄경론(新華嚴經論)』(40권)에서 부처님 가르침의 종지를 중심으로 제1 소승계경(小乘戒經)부터 제10 『화엄경』에 이르기까지 10가지로
불교일보
2025.03.02 16:24
수행
『능가경』의 수행론 [3]
『능가경』의 수행론 [3]종상스님(본지 발행인) 2. 『능가경』의 유통 과정 (불교일보=석사눌 편집위원) 『능가경』 범본은 10만 송본, 3만6천 송본 및 약본인 4천 송이 있었다고 한다. 대부분의 범본 불경이 산실한 데 비해 이 경의 범본은 다행히 현존한다. 네팔에서 전하는 범본 『능가경』을 일본학자
불교일보
2025.02.28 10:12
수행
『능가경』의 수행론 [2]
Ⅱ. 『능가경』의 성립과 사상사적 위치종상스님(본지 발행인) 1. 『능가경』의 성립연대 검토 (불교일보=석사눌 편집위원) 불교에는 다양한 경전이 존재한다. 붓다의 가르침이 대기설법(對機說法)이라는 방편을 택한 것이 첫 번째 이유일 것이다. 다른 이유로서 기독교, 이슬람교와 같은 계시 종교가 아닌 불교에서 다양한 경
불교일보
2025.02.28 09:02
수행
『능가경』의 수행론
『능가경』의 수행론종상스님(본지 발행인) Ⅰ. 서론 (불교일보=석사눌 편집위원) 불교는 깨침의 종교이다. 다시 말하면 불교의 목적은 깨침에 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수단이 필요하다. 깨침을 위한 수단으로서 필수조건은 수행이다. 수행은 저절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신심이 바탕에 있어야 한다. 신심과 수행,
불교일보
2025.02.28 08:52
경전
"마음의 해탈 위해 바르게 사유하라"
2. 정사유경(正思惟經)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물질에 대해서 바르게 사유하여 ‘물질은 무상하다.’라고 사실 그대로 알아야 하느니라. 왜 그러한가? 비구들아, 물질에 대해서 바르게 사유하여 ‘물질은 무상하다.’라고 관찰해 사실
불교일보
2025.02.24 21:39
경전
"무상하다고 마땅히 관찰하라. 이렇게 관찰하면 그것은 바른 관찰이니라. "
1. 무상경(無常經)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 계셨다. 그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물질(色)은 무상하다고 마땅히 관찰하라. 이렇게 관찰하면 그것은 바른 관찰이니라. 바르게 관찰하면 곧 싫어하여 떠날 마음이 생기고, 싫어하여 떠날 마음이 생기
불교일보
2025.02.22 15:15
경전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미혹되지 말라
▲사진: Unsplash의Emily KenCairn of Apiary Studio 옛날 어떤 어리석은 사람이 있었다. 그의 아내는 용모가 단정하였으므로 그는 마음으로 매우 사랑하고 소중히 여겼다. 그러나 그 부인은 정직하고 믿음직스럽지 못하여 사는 동안에 다른 남자와 정을 통하였고, 음탕한 마음을 걷잡지 못하여 급기야 제
불교일보
2025.02.10 22:14
경전
“내게 재물이 많이 쌓이기를 기다렸다가 한꺼번에 보시(布施)하리라”고 생각하지만..
옛날 어떤 어리석은 사람이 장차 손님을 청하여 소의 젖을 모아 대접하려 고 자리를 마련하고는 이렇게 생각했다. ‘내가 만약 날마다 미리 소젖을 짜두면 소젖은 점점 많아져 마침내 둘 곳이 없게 될 것이며, 또한 맛도 변해 못쓰게 될 것이다. 그러니 이렇게 하기보다는 소젖을 소 뱃속에 모아두었다가 모임이 있을 때쯤에 한꺼번
불교일보
2025.02.10 22:05
경전
어리석은 사람은 소금이 맛있다고 소금만 먹는다
옛날 어떤 어리석은 사람이 남의 집에 가서 주인이 주는 음식을 먹고, 싱거워 맛이 없다고 불평하였다. 주인이 그 말을 듣고 소금을 넣었다. 그는 소금을 넣은 음식을 맛있게 먹고는 생각하였다. ‘음식이 맛있는 것은 소금 때문이다. 조금만 넣어도 맛있는데 많이 넣으면 얼마나 더 맛있을까?’ 그리고 그 어리석은 사람은 무지
불교일보
2025.02.10 16:29
수행·신행
KGM, 새해 맞아 'NEW 세일 페스타' 시행…고객 혜택 강화
KGM, 새해 맞아 'NEW 세일 페스타' 시행…고객 혜택 강화KG 모빌리티(www.kg-mobility.com, 이하 KGM)가 을사년 새해를 맞아 고객 혜택을 강화한 'NEW 세일 페스타'를 1월 한 달 동안 시행한다고 2일 밝혔다. NEW 세일 페스타는 KGM이 고금리 시대에 차종별 할인 혜택은 물론 무이자 할부 등
불교일보
2025.01.08 09:42
1
내용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