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콕. 사진: Unsplash의Alexandre Chambon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는 오는 3월 15일 (토)제27차 학술대회로 동아시아의 최대사상가인 분황 원효(617~686)의 저작 가운데에서 현존 정토 문헌을 연구하는 학술대회를 마련하였다. 원효의 현존 20여 종의 저술은 지난 1,700여 년 동안 한국인들이 저술한 불교 전적을 집성한 《한국불교전서》 제1책(신라시대편)과 《한국불교전서》 제15책(보유편 제5책)에 수록되어 있다.

분황 원효의 현존 정토 문헌의 의미와 가치를 구명하는 이번 학술대회는 한국 불교학의 지위를 국학 혹은 한국학의 지평 속에서 확립하고 우리 인문학의 위상을 불교학의 지형 속에서 확보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동국대 세계불교학연구소는 지난 2022년 학술대회의 전반기에 원효의 《금광명경소》(집일)와 《승만경소》(집일), 의상의 《화엄경문답》, 의적의 《무량수경술기》(권제일), 현초의 《최승태자별단공양의궤》(6단), 후반기에는 원측의 《무량의경소》, 원효의 《금광명경소》(집일) II, 원효의 《능가경소·종요》(집일), 의상의 「백화도량발원문」(누락분 포함), 법장의 《건나표하일승수행자비밀의기》(요약본)의 중심 내용과 주요 특징에 대해 궁구해는 장을 마련한 바 있다.

또 2024년 학술대회의 상반기에는 분황 원효의 단간본인 《진역화엄경소》(제3권, 서문), 《보살영락본업경소》(하권, 서문), 《중변분별론소》(제3권), 《범망경보살계본사기》(상권), 《판비량론》(단간), 하반기에는 《반야심경소》, 《해심밀경소》, 《십문화쟁론》, 《대승기신론이장의》, 《대승기신론별기》에 대해 구명하였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원효의 《미륵상생경종요》, 《불설아미타경소》, 《무량수경종요》, 《유심안락도》, 〈미타증성게〉(지눌의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수록)와 〈징성가〉(최자의 〈만덕산백련사원묘국사비명〉 소수 《동문선》 수록) 등 현존 정토 문헌의 연구를 통해 한국불교에서 원효의 불교 대중화에 대한 노력을 재조명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소는 "이러한 참구는 원효 불전 연구의 내포를 단단히 하고 외연을 넉넉히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이라며, "관심있는 많은 분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능동적인 참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뜻 깊은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학불기자)

이번 학술대회 일정은 다음과 같다.

------------

1. 일 시: 2025년 3월 15일 (토) 13:00 ~ 19:10

2. 장 소: 동국대학교 법학만해관 163호 멀티미디어 강의실

3. 주 최: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세계불교학연구소

■주제별 발표 소개 ▷

(13:00-13:40) 등록

(13:40-13:50) 개회사 _ 소장

[사 회] 오용석 (원광대 마음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13:50-14:40)

[발 표1] 분황 원효 《미륵상생경종요》의 중심 내용과 주요 특징

발 표 1 : 박서연 (동국대 세계불교학연구소 학술초빙교수)

논 평 1 : 이수미 (덕성여대 철학과 교수)

(14:40-15:30)

[발 표2] 분황 원효 《불설아미타경소》의 중심 내용과 주요 특징

발 표 2 : 김종민 (오일스님,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연구원)

논 평 2 : 최복희 (오인스님, 중앙승가대 불교학과 교수)

(15:30-16:20)

[발 표3] 분황 원효 《무량수경종요》의 중심 내용과 주요 특징

발 표 3 : 고영섭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논 평 3 : 김태수 (대진대 대진학술원 연구교수)

휴식 : 20분

[사 회] 오용석 (원광대 마음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16:40-17:30)

[발 표4] 분황 원효 《유심안락도》의 중심 내용과 주요 특징

발 표 4 : 원영상 (원광대 원불교학과 교수)

논 평 4 : 최다운 (지안스님, 한국불교사연구소 연구원)

(17:30-18:20)

[발 표5] 분황 원효 〈미타증성게〉·〈징성가〉의 중심 내용과 주요 특징

발 표 5 : 김춘호 (법우스님, 용월사 불교문화연구원)

논 평 5 : 이인석 (청동스님, 한마음선원)

[종합토론] (18:20-19:00)

오용석 (원광대 마음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19:00-19:10) 폐회사 _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