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환 최측근 극동방송 인사 '증거인멸' 정황…해병특검 포착
통화기록 지우고 PC 자료 삭제 지시 의혹…김장환-尹 등 통화도 조사
X
김장환 목사 [극동방송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채상병 사건 외압·은폐 의혹을 들여다보는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이 이른바 '개신교계 구명 로비' 의혹의 당사자인 김장환 목사(극동방송 이사장)와 가까운 극동방송 인사의 증거인멸 정황을 포착해 수사 중이다.
4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구명 로비 의혹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극동방송 고위 관계자 A씨가 통화 내역 등 증거를 인멸하려 한 정황을 확인했다.
A씨는 2023년 7월 19일 채상병 순직 사건 발생 직후 약 7개월간의 휴대전화 통화 기록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이용 내역 등을 삭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검팀은 A씨가 극동방송 관계자 등에게 사무실 PC에서 자료를 지우라는 지시를 내린 정황도 파악했다.
특검팀은 A씨 통화 기록 등이 채상병 사건 직후부터 삭제된 점을 들어 구명로비 의혹과 관계있는 것으로 의심하고 관련 증거를 고의로 인멸하려 한 것인지를 확인하고 있다.
다만 A씨는 사고 이후 김 목사가 임 전 사단장과 위로 차원에서 연락한 바 있지만 구명 로비를 벌인 적은 없으며 휴대전화 통화 내역 등도 일부러 삭제한 것이 아니라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 특검팀은 채상병 수사 외압 논란이 불거진 2023년 7∼9월 김 목사가 윤석열 전 대통령과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임 전 사단장 등과 여러 차례 통화한 내역을 확보해 사건 관련성을 조사하고 있다.
특검팀은 압수수색과 관계자 진술 등으로 확보한 단서·물증을 토대로 개신교계 구명 로비 수사를 진척시킨다는 계획이다. 특검팀은 개신교계가 임 전 사단장 구명 로비 의혹에 연루된 정황을 잡고 지난 7월 김 목사 자택과 극동방송 등을 압수수색한 바 있다.
압수물 분석을 상당 부분 마무리한 특검팀은 김 목사를 비롯한 개신교계 인사들에 대해 소환 일정을 조율할 방침이다.
s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