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간 40여명이 찾아낸 자살 유발·유해정보 3만4천건"
복지부·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등, 올해 6월 집중 정보 클리닝

29일에는 영상콘텐츠 자살장면 가이드라인 세미나

X
복지부-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자살예방 상담전화 캠페인 3월 진행 (서울=연합뉴스)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서울 한강에서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를 홍보하기 위해 109를 형상화한 구명 튜브 띄우기 행사를 3월 중 진행한다고 9일 밝혔다.

사진은 '마음구조 109' 수상 캠페인 리허설 장면. 2025.1.9 [이제석광고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범람하는 자살 유발 정보를 차단하고자 정부가 실시한 2주간의 감시 기간에 40여명이 3만4천건에 가까운 정보를 신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에 따르면 양 기관은 경찰청과 함께 올해 6월 16∼27일 만 19세 이상 전 국민을 대상으로 '2025년 국민참여 자살유발정보 집중클리닝 활동'을 했다.

자살 동반자를 모집하거나 자살의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자살을 부추기는 내용, 자해 사진이나 동영상, 자살을 미화·희화화하는 내용 등을 담은 자살 유발·유해 정보 신고를 잡아내는 것이다.

감시 기간에는 총 43명이 참여해 총 3만3천820건의 자살 유발·유해 정보를 신고했다. 1인당 786.5건을 적발한 셈이다.

자살 유발·유해 정보 신고는 2020년 9만772건에서 지난해 40만136건으로, 최근 5년간 4.4배가 됐다.

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영상 콘텐츠 속 자살 장면 가이드라인을 확산시키고자 오는 29일 로얄호텔서울에서 온오프라인 세미나를 연다.

세미나는 드라마·OTT(동영상 스트리밍)·영화 등 영상 콘텐츠 속 자살 장면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언론·심의기관·청소년·정신건강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유관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해 흡연 장면 규제의 정책 성과를 바탕으로 자살 장면 규제 정책을 모색할 계획이다.

유현재 서강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세미나 기조 발표에서 "흡연 장면 규제가 사회적 합의와 자율지침으로 정착했듯이 자살 표현도 사회적 공감대와 제작자의 의식 개선이 필요하다"며 "영상 콘텐츠 제작 단계에서부터 생명 존중의 기준이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복지부와 재단에 따르면 영상 콘텐츠 자살 장면 가이드라인에는 ▲ 자살 방법과 도구를 구체적으로 묘사하지 않기 ▲ 자살을 문제 해결 수단으로 제시하거나 미화하지 않기 ▲ 동반 자살이나 살해 후 자살과 같은 장면 지양하기 ▲ 청소년의 자살 장면은 더욱 주의하기 등 4가지 원칙이 있다.

X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제공]

so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