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 정치 인생 오롯이…동교동 사저, 국가등록문화유산 된다
문화유산위, 조건부 가결…명칭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 될 듯
X
김대중 전 대통령 동교동 사저 [연합뉴스 자료사진]
(기사발신지=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한국 민주주의의 역사가 깃든 현장으로 평가받는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저가 국가유산이 된다.
28일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문화유산위원회는 이날 열린 회의에서 서울 마포구 동교동에 김 전 대통령 사저의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 여부를 심의한 뒤 조건부 가결했다.
등록되면 명칭은 '서울 동교동 김대중 가옥'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행 '국가등록문화유산의 명칭 부여 지침'에 따르면 건축물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할 때는 소재지와 고유 명칭을 더해 명칭을 정한다.
X
김대중 전 대통령 사저 [연합뉴스 자료사진]
당초 마포구 측은 '김대중 전 대통령 사저'라는 명칭으로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을 신청했으나, 전문가 논의 과정에서 현행 지침 등을 고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전 대통령의 동교동 사저는 우리 현대사에서 의미가 큰 공간이다.
김 전 대통령은 1960년대 초에 이곳에 터를 잡은 뒤 미국 망명, 영국 유학 시기 및 2년여 간의 일산 생활을 빼고는 2009년 타계할 때까지 줄곧 동교동에서 지냈다. 정치 인생 대부분을 보낸 곳도 이곳이다.
김 전 대통령과 정치적 뜻을 같이한 이들을 일컫는 '동교동계'라는 말도 여기에서 비롯됐다. 군사 독재 시절에는 55차례나 가택 연금을 당하기도 했다.
X
2019년 동교동 사저 내부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그러나 이희호 여사가 2019년 6월 별세한 뒤, 동교동 사저와 김 전 대통령의 노벨상 상금(8억원)을 둘러싼 형제간 유산 분쟁이 벌어진 바 있다.
지난해에는 사저가 민간에 매각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에 마포구는 소유자의 동의를 받아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사저 보존을 위한 추진위원회를 꾸린 상태다.
국가유산청은 향후 동교동 사저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 예고한 뒤, 30일간 각계 의견을 검토해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등록할 방침이다.
X
김대중 전 대통령 사저와 도서관 안내판 [서울 마포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ye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