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미국산 농산품 검역협상 전담데스크 설치…"소통 강화"(종합)
"쌀·쇠고기는 기존 합의 그대로…추가 개방 없어"

X
한미 팩트시트 최종 합의 관련 뉴스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14일 서울역 대합실의 TV 화면에 한미 팩트시트 최종 합의 발표 관련 뉴스가 방송되고 있다. 2025.11.14 hihong@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한국이 미국산 농산품 전담 데스크를 설치한다.

14일 발표된 한미 양국의 무역합의 세부 내용에 따르면 한국은 식품과 농산물 교역에 영향을 미치는 비관세 장벽을 논의하기 위해 미국과 협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양자 간 협정과 의정서 상의 기존 공약 이행을 보장하고, 농업 생명공학 제품의 규제 승인 절차를 효율적으로 할 예정이다.

세부 내용에는 "미국 신청 건의 지연을 해소하며 미국산 원예작물 관련 요청을 전담하는 US 데스크를 설치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쌀·쇠고기 추가 시장 개방은 한미 합의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기존에 합의한 내용 그대로 농축산물 추가 개방은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 정부는 농산물 추가 시장 개방은 없으며 다만 미국 측과 비관세 장벽에서 협력과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혀왔다.

한미 양국은 지난 8월 통상협상에서 미국산 수입 검역 절차를 전담할 US 데스크를 두기로 합의한 바 있다.

미국이 병해충 위험성을 평가하는 검역 협상이 너무 오래 걸린다고 불만을 제기해온 데 대해 우리 정부가 소통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미국 데스크를 설치하기로 한 것이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지난 5일 기자간담회에서 "(한미 간) 소통을 강화할 창구로 US 데스크를 둔다.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는 상징적 형태"라고 말했다.

이어 US 데스크는 위원회 등 공식 협의 시 양국 간 연락 포인트 역할을 하는 곳으로 이해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송 장관은 "검역 협상 8단계 절차는 국제 룰이라 생략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농식품부는 이날 설명자료를 내고 "정부는 이번 한미 통상협상에서 농산물 추가 시장 개방이 없도록 철저히 방어했다"면서 "농업생명공학제품 관련 위해성 심사 절차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절차를 개선하고 미국이 신청한 품목에 대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심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한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에 "특정 명칭을 사용하는 미국산 육류와 치즈에 대한 시장 접근을 유지하기로 했다"는 내용이 포함된 데 대해 "이는 체다치즈, 살라미 등과 같은 치즈·육류 제품의 일반적인 명칭을 미국 수출자가 한국 시장에서 현재와 같이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음을 재확인하는 것이며, 치즈·육류에 대한 관세 철폐 등 추가 개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y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