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소도 1만달러면 나와"…단속 비웃는 캄보디아 범죄단지
'官' 매수한 범죄단지…"단속은 보여주기식, 미리 전화 와"
유착 못 끊으며 한국인 대상 범죄 계속…경찰 "신고 줄지 않아"
X
캄보디아 범죄단지 '태자단지' 내부 [연합뉴스 자료사진]
(기사발신지=연합뉴스) 박수현 기자 = 캄보디아 현지 경찰과 유착 관계를 맺은 범죄단지들이 여전히 활발하게 한국인 대상 범죄를 저지르고 있다는 내부 근무자들의 주장이 나오고 있다.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범죄단지에서 일하는 A씨는 26일 연합뉴스에 "계속된 단속과 언론 취재에 시아누크빌 범죄단지 50% 이상이 비어 있는 상태지만, 여전히 한국팀(한국인 직원으로 구성된 팀) 몇 곳이 일을 하는 상태"라고 밝혔다.
A씨는 "그 중에는 20명이 넘는 비교적 대규모 팀도 있다"며 "단속은 그냥 보여주기 식이고, 범죄단지 근무자들의 이동 시간에 맞춰 검문도 철수한다. 그냥 '귀찮다' 정도"라고 현지 분위기를 전했다.
A씨 역시 자신의 팀이 중국인 관리자의 비호 아래 운영 중이라고 했다. 그는 캄보디아를 떠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여전히 한국인 대상 범죄가 수익이 잘 나오는 데다, 경찰 등 기관을 매수하는 '관(官) 작업'이 쉽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캄보디아 국경지대의 범죄단지에서 일하는 B씨도 "프놈펜, 시아누크빌의 범죄단지를 거쳐 국경 지대로 옮겼다"라며 "대형단지는 국가에서 보호해주고 털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최근 미얀마군이 국경 인근 최대 범죄단지 'KK파크'를 급습했지만 단속 전날 중국인 직원들이 단지를 모두 빠져나간 일을 언급하며 "어차피 정보가 샌다. 빈집 털린 것"이라고 말했다.
X
캄보디아 태자단지 내부 생활흔적 [연합뉴스 자료사진]
범죄단지 사정에 정통한 이들은 이번 사태가 벌어진 핵심 요소인 현지 경찰과 범죄단지의 유착 고리를 끊어내지 못하며,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이어지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딥페이크를 이용한 로맨스스캠으로 120억원을 가로챈 일당의 주범인 한국인 부부가 현지 경찰에 체포됐지만, 반년 넘도록 송환되지 않는 것이 대표적인 예라는 설명이다.
이 부부는 지난 2월 현지 경찰에 체포됐다가 6월 초 한 차례 석방됐고, 우리나라 법무부가 7월 말 수사 인력을 보내 현지 경찰과 함께 체포해 구금했지만 송환 협의가 지연되며 다시 풀려났다.
A씨는 "유치장에서 나오는 건 정말 원화로 몇백만원만 주면 된다. 기존에 맺어둔 관계가 없어도 경찰서에 1∼2만달러(약 1천439만∼2천879만원)만 주면 나올 수 있다. 라인 있으면 몇백달러만 써서 술 한 잔 사주면 된다"고 설명했다.
범죄단지 근무자의 지인 C씨는 "어차피 누가 신고해도 말단들 꼬리 자르면 끝이라서 신경 안 쓴다. 징역 갈 사람을 따로 정해두는데 어떻게 상선(윗선)이 잡히겠나"라고 말했다.
경찰 관계자는 "캄보디아에서 사람이 다 빠졌으면 한동안 조용해야 할 텐데 여전히 보이스피싱 신고는 계속 들어온다"라며 "피싱 콜센터는 경찰 공권력이 부패한 후진국에 머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X
캄보디아 태자단지에 방치된 컴퓨터와 모니터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sur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