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제주4·3 진실 규명 경험은 미래 불행 막는 방패"
4·3평화포럼서 기조강연…"다시는 국가폭력이 시민 짓밟는 일 없어야"
X
4·3평화포럼서 기조연설하는 추미애 (제주=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추미애 국회 법사위원장이 13일 오후 제주시 연동 썬호텔에서 열린 제15회 제주4·3평화포럼 개회식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2025.11.13
jihopark@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추미애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이 제주를 찾아 "제주 4·3의 진실을 지키고, 교훈을 다음 세대에 전하며, 다시는 국가폭력이 시민을 짓밟는 일이 없도록 하자"고 말했다.
추 위원장은 13일 제주시 연동 썬호텔에서 열린 제15회 제주4·3평화포럼 개회식에서 '제주4·3 진실규명의 의미'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 1999년 국회 본회의 대정부질문에서 제주4·3에 대한 역사적 진실과 책임 규명을 주장하고, 정부기록보존소(현 국가기록원) 창고를 뒤져 수형인 명부와 재판기록을 발견해 4·3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낸 과정을 회상했다.
그해 9월 그는 정부 소장 군법회의 수형인 명부와 일반재판기록을 발굴해 일반에 공개하도록 했고, 제주4·3 진상규명 특별법을 발의·통과시켰다. 이후 법무부 장관 재임 시절 국가 배상이 집행되도록 하는 역할을 맡기도 했다.
추 위원장은 "4·3을 통해 우리는 침묵을 깨고 진실을 말하는 법, 기록을 찾아 증거로 만드는 법, 법과 제도로 정의를 실현하는 법이라는 경험적 자산을 얻게 됐다"며 "지난해 12월 우리는 내란이라는 불행한 사건을 다시 목격했지만 저는 절망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역사는 반복될 수 있지만, 기억하고, 기록하고, 제도화한 경험은 미래의 불행을 막는 방패가 된다"며 "4·3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싸워온 시간은 헛되지 않았다"고 했다.
제주4·3평화재단이 주최한 이번 포럼은 '제주4·3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와 4·3의 세계화'를 주제로 제주4·3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의미와 4·3 세계화를 위한 남은 과제를 점검하기 위해 열렸다.
둘째 날 열리는 학술 세션에서는 '제주4·3 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와 '기억의 전승, 기록의 세계화', '대중화의 길, 과거와 현재의 대화' 등 세 가지 주제로 국내외 연구자들의 발표 토론이 이어진다.
jiho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