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작권 전환 대비 한미 연합지휘통제체계 10년 만에 업그레이드
보안 강화하고 AI·통번역·화상회의 도입…1천178억 투자해 2029년 전력화 목표

X
한미 '을지 자유의 방패'(UFS·Ulchi Freedom Shield) 연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한미연합작전 시 필수인 연합지휘통제체계(AKJCCS)가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에 대비해 2029년까지 업그레이드된다.

AKJCCS는 한반도 전구에서 한미 연합작전을 지휘·통제하는 체계로, 이달 중순 시작되는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를 포함한 한미연합연습에서 활용되고 있다.

방위사업청은 전작권 전환 시 우리 군 주도의 효과적인 연합 작전 수행을 위해 AKJCCS 성능을 개선하기로 하고 올해부터 2029년까지 1천178억원을 투자한다고 4일 밝혔다. 연내 참여 업체를 선정할 예정이다.

2015년 전력화된 AKJCCS의 성능 개량 사업은 10년 만에 처음으로, 2029년에는 완전히 개량된 AKJCCS의 전력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방사청은 설명했다.

성능 개량은 신규 개발에 준하게 이뤄진다고 한다.

핵심은 클라우드 기반 센터 서버, 데스크톱 가상화(VDI), 인공지능(AI) 기반 자동화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다.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 탓에 실시간 정보 공유와 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점을 고려해 자동 통번역과 원격 화상회의 체계도 신규 도입된다.

보안 기능 향상도 주요 과제다.

미국은 그동안 우리가 개발한 AKJCCS의 보안상 취약점을 지적하며 미군에서 운용하는 한국 전구 범세계연합정보교환체계(CENTRIXS-K)와 연동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그러나 이 체계가 연동되지 않으면 유사시 한반도에 증원되는 미군 전력에 대한 지휘통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보안 성능 개선은 시급한 과제로 손꼽혀왔다.

방사청은 이번 사업을 통해 노후 장비를 전면 교체하는 것은 물론 K-RMF(국방 사이버보안 위험관리 제도)를 적용해 사이버 보안 분야 생존성 강화를 도모한다.

K-RMF는 미군의 RMF를 벤치마킹해 한국의 국방 환경에 맞게 적용한 개념으로, 사이버 위협 발생 후 대응하는 방식이 아닌 사전에 위협을 예측해 방지하자는 것이다. 이번 사업은 무기체계 개발단계부터 K-RMF를 적용하는 첫 사례라고 한다.

방사청 관계자는 "AKJCCS 성능개량 사업은 기존 성능을 일부 개선하는 수준이 아니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전반적으로 개선하는 신규 개발에 준하는 사업"이라며 "최신 기술과 정책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적용해 성공적으로 개발을 완료하겠다"고 말했다.

lis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