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가 향후 5년간 국가 균형 성장 전략의 핵심축으로 부상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최근 발표한 국정운영 청사진에서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을 주요 과제로 제시하며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 집무실 건립을 신속히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국가 성장을 위한 ‘5극3축 특화 전략’과 연계돼 추진된다. 인수위는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을 위해 조기 착수를 명시했지만, 국회 본원과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 완전 이전은 ‘사회적 합의’라는 조건을 달았다.
지역 사회의 오랜 숙원인 공공기관 이전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대전·충남 혁신도시뿐 아니라 세종시가 포함되면서 관련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인수위는 지방재정분권 확대, 지역 맞춤형 예비타당성 조사 전면 개선 등을 통해 지역이 국가 균형 성장의 주축임을 강조했다.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은 ‘4+1 전략’에 따라 첨단 산업 배치와 연계되는 국가 비전의 일부로 자리 잡았다. 다만 이번 발표에서 기후에너지부 신설 등 조직 개편안은 제외됐으며, 세종시가 이전을 요청한 여성가족부는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이 제안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국민보고대회를 열고 123대 국정과제와 564개 실천과제를 공개했다. 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은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은 권역별 균형 발전과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동력”이라며 “지역 특화 산업과 행정 중심 도시 기능이 결합해 대한민국 미래 성장의 축을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