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회담] '2018 소환' 트럼프…李대통령, 북미대화 '페이스메이커' 나서나
트럼프 "올해 안에 김정은 만나고 싶다"…경주 APEC, 제2의 평창올림픽 될까
한미 '북핵 해결' 호흡 재개 주목…"2018년보다 상황 나빠" 신중론도
X
한미 정상회담 (워싱턴=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2025.8.26 xyz@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임형섭 설승은 황윤기 기자 =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각)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북미대화 재개의 발판이 마련될지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만남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공개적으로 드러낸 데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적극적으로 '페이스 메이커' 역할을 자처하고 나서면서다.
X
김정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 [연합뉴스TV 제공]
이날 백악관에서 열린 회담에서 양 정상은 공개발언 상당 부분을 북미대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할애했다.
이 대통령이 먼저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한반도에 평화를 만들어 달라"며 김 위원장을 직접 만나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을 '피스 메이커'로 규정하면서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대화의 '주역'을 맡아달라며 활동 공간을 넓혀주는 동시에 자신도 최선을 다해 대화 무드를 만들어 가겠다고 약속한 것이다.
여기에는 항구적인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북미대화가 필수라는 이 대통령의 판단이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현실적으로 남북대화만으로는 북핵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한계가 뚜렷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북미대화 추동 과정에서 한미 간 동북아 정세에 대한 자연스러운 공감대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양국의 안보협력이 심화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반영된 메시지로도 해석할 수도 있다.
X
평창에 사상최대 北방문단 온다…남북 고위급회담 공동보도문 발표 남북 양측이 9일 열린 고위급회담에서 평창동계올림픽에 북한의 대규모 방문단 파견에 합의함에 따라 사상 최대규모의 방문단이 남쪽을 찾을지 주목된다.
이날 합의된 공동보도문에서 북측은 고위급 대표단과 민족올림픽위원회 대표단, 선수단은 물론 응원단, 예술단, 참관단, 태권도 시범단, 기자단 등을 파견하고, 남측은 필요한 편의를 보장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대화 분위기를 한국의 대통령이 조성하려 한다는 점에서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인 2018년과 구도가 유사하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당시 북미 정상은 북한의 비핵화 방안을 두고 두 차례 정상회담을 가졌고, 문재인 전 대통령이 '한반도 운전자론'과 '중재자론'을 앞세워 세 차례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북미대화를 조율한 바 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정상회담에서도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시작된 북미대화의 과정을 자세히 소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한국은) 올림픽을 준비하고 있었고, 북한과 매우 적대적인 관계였다"며 "(그래서) 표를 팔지 못하고 있었다. 아무도 개막식에서 폭파 당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어느 날 (김 위원장의) 전화를 받고 대화를 시작했다"며 "그 통화 직후 한국은 (올림픽) 표를 팔기 시작했고, 엄청난 성공을 거뒀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그를 여동생(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을 제외한 누구보다도 그를 잘 안다"며 당시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는 점도 부각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과 다시 한번 얘기를 하게 되기를 바란다"며 올해 안에 만남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공식화했다.
일각에서는 올해 10월 말 경주에서 예정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평창 동계올림픽 같은 '촉매제' 역할을 할지 주목하고 있다. APEC 참석을 위해 트럼프 대통령이 방한하면서 자연스럽게 남북미 정상의 회동이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다.
X
이재명 대통령, 공군 1호기 기내 간담회 (공군1호기=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일본 도쿄 하네다공항 이륙 뒤 미국 워싱턴DC로 향하는 공군 1호기 기내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8.25 hihong@yna.co.kr
물론 그 가능성이 현재로선 크지 않다는 신중론도 나온다.
'하노이 노딜'을 경험한 상황에서 북미 모두 2018년보다 더욱 대화에 신중을 기할 수밖에 없는 데다 북러 간 밀착 등 국제정세가 워낙 급변하는 만큼 북미대화 재개를 낙관할 때가 아니라는 견해가 우세하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도 전날 전용기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2018년과 상황이 비슷해 보일 수는 있으나 객관적으로 전혀 비슷하지 않고 훨씬 나쁘다"며 "적대감도 매우 커졌고 북한의 핵무기·미사일 개발도 그때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라고 진단했다.
이 대통령은 "주변국 관계도 많이 나빠졌다"며 "세계 평화나 동맹의 입장에 대한 고려보다 자국 이익이 더 중요한 상황이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매우 상황이 안 좋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이 대통령은 "북한 문제는 대한민국 안보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다. 길을 한번 만들어봐야 하지 않을까 싶다"면서 대화 추동 의지를 피력했다.
https://www.youtube.com/embed/O6-1OuE6YvA
hysup@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