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양평의혹' 국토부과장 압수수색…尹인수위 '윗선' 겨눈다(종합2보)
직권남용 피의자 신분…인수위서 김건희 일가 보유지 포함 노선

검토지시 의혹원안 지지한 전문가 녹취 확보…외압 경로 확인할 듯

X
김건희 특검팀 현판식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와 관련한 각종 의혹 사건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가 2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에 마련된 특검 사무실에서 특검보들과 함께 현판식을 가졌다.

이날 민중기 특검 사무실에 걸린 현판 앞에서 취재진이 대기하고 있다. 2025.7.2 [공동취재] dwise@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이영섭 기자 =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양평고속도로 의혹'과 관련해 윤석열 전 대통령 인수위원회에 파견됐된 국토교통부 공무원에게 직권남용 혐의를 적용해 강제수사에 나섰다.

특검팀은 16일 양평고속도로 종점부 노선변경 의혹과 관련해 김모 과장의 전·현 근무지인 국토부 미래전략담당관실, 부동산투자제도과와 주거지를 압수수색했다.

김 과장은 압수수색영장에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피의자로 적시된 것으로 파악됐다.

특검팀은 2022년 3월께 인수위가 김 과장을 통해 양평고속도로 사업 실무진에 김 여사 일가의 땅이 포함된 대안 노선을 검토해보라고 지시했을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

이 사업 예바타당성조사와 관련해 용역업체와 접촉했던 김 서기관은 최근 특검팀에 "인수위에 파견된 국토부 관계자에게 종점 변경과 관련한 연락을 수차례 받았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용역업체 측도 2022년 4월 김 서기관이 기존 예타안이 아닌 강상면 일대를 종점으로 검토해보라고 제안하면서 인수위를 언급했다고 특검팀에 진술했다고 한다.

특검팀은 이런 진술을 토대로 김 서기관과 소통한 인수위 인사를 김 과장으로 특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김 과장이 용역업체에 직접 연락해 대안 노선이 기존 예타안보다 좋다는 내용을 언론에 홍보하라고 요구한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2023년 8월께 국회 등에서 원안을 지지하는 전문가 의견을 냈던 이찬우 한국건설사회환경학회장을 방문해 강상면 대안의 타당성을 직접 설명하기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과장은 대안이 더 합리적인데도 예타안에 맞춰 기존 양서면 노선을 고수할 필요가 없다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사업비 추산 규모를 놓고 의견이 엇갈려 양측이 논쟁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지난 13일 이 회장을 통해 당시 대화가 담긴 1시간20분가량의 녹취 파일을 확보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검팀은 지난 7월에도 이 회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국토부가 공개한 비용편익이 자의적"이라는 전문가 의견을 들었으나, 당시에는 김 과장에 대해 조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장은 의혹이 불거진 당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원안이 타당성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특검팀은 압수한 물증을 토대로 인수위 차원의 압력이 실제로 있었는지 들여다볼 방침이다. 구체적인 외압 경로가 확인되면 수사는 본격적으로 '윗선'을 향할 수 있다.

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 의혹은 2023년 국토부가 서울∼양평고속도로 사업을 추진하며 종점 노선을 김 여사 일가의 땅 일대로 바꿔 특혜를 줬다는 내용이다.

원안인 양서면 종점 노선은 2021년 예비타당성 조사까지 통과했는데 국토부가 2023년 5월 김 여사 일가 땅이 소재한 강상면 종점 노선을 검토하면서 의혹이 불거졌다. 논란이 일자 원희룡 전 국토부 장관은 그해 7월 사업 백지화를 선언했다.

특검팀은 지난 7월 국토부와 한국도로공사, 김 서기관 자택을 압수수색한 이래 3개월가량 의혹을 수사해왔다. 당시 영장엔 원 전 장관도 피의자로 적시됐으나 아직 소환 조사를 받지 않았다.

young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