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총리 "이태원참사, 참담한 재난…대통령도 '무거운책임' 언급"
"진상규명 미흡·징계 부실…책임에 상응하는 조치 계속 취할 것"

참사 3주기 추모사…"어떤 말·행동으로 유가족 욕보이는 일 사라져야"

X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 추모대회 (광주=연합뉴스) 24일 오후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앞에서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 광주시민 추모대회가 열리고 있다. 2025.10.24 [5·18 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daum@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설승은 기자 = 김민석 국무총리는 25일 이태원 참사와 관련,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하라는 유가족들의 절규 앞에 우리는 아직 자유롭지 못하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서울시청 광장에서 열린 '10·29 이태원참사 3주기 시민 추모대회'에서 추모사를 통해 "단순한 사고가 아니라 공적 책임과 공적 안전망의 붕괴가 불러온 참담한 재난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총리는 또 "이 대통령께선 '국가가 존재 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함이다. 한없이 무거운 책임을 느낀다'라고 말씀하셨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야말로 국가의 첫 번째 존재 이유"라며 "이태원 참사 이후 재난 대응 기준이 정비되고 예방 체계 강화됐지만 아직도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며칠 전 정부의 합동 감사를 통해 사전 대비 미흡과 총체적 부실 대응이 참사의 원인이었다는 것이 다시 확인됐다"며 "진상 규명은 미흡했고 징계는 부실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총리는 이어 "책임에 상응하는 조치를 계속 취해 가겠다. 추모 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정부를 대표해 약속드린다"고 힘주어 말했다.

그는 참사 희생자 유가족들을 향해서는 "헤아릴 수 없는 고통 속에서도 목소리를 내준 간절한 뜻을 결코 잊지 않고 기억하고 더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면서 유가족 의견을 반영한 추모시설 건립을 약속했다.

그러면서 "기억이 모이면 연대가 된다. 추모와 기억을 안전한 나라를 위한 실천의 연대로 이어가야 한다"며 "정부와 시민, 지역사회 모두가 더 안전한 대민을 만들어 가도록 노력하자"고 언급했다.

아울러 김 총리는 참사 당일인 29일 정부 공식 추모 행사인 '3주기 기억식'이 열린다며 "국민께 간곡히 부탁드린다. 이제 어떤 말과 행동으로도 참사 유가족을 아프게 하고 욕보이는 일은 사라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총리는 추모사를 한 뒤 외국인 희생자 유가족들의 손을 잡으며 위로를 건넨 후 자리에 돌아와 안경을 벗고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

이날 추모대회는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행정안전부, 서울시가 공동 개최했다. 참사 이후 유가족과 정부가 공동으로 개최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김 총리는 정부 대표인 추모위원장 자격으로 참석했다.

se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