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 정상들, RCEP 통해 무역협력 강화·보호무역 완충 논의(종합)
트럼프 떠나자 中 "자유무역 수호"…아세안 "미얀마 총선 참관단 파견 없다"
李대통령 "아세안+3 협력에 박차 가해야"
X
이재명 대통령, 아세안+3 정상회의 기념촬영 (쿠알라룸푸르=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7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하우 칸 솜 미얀마 외교부 사무차관, 로런스 웡 싱가포르 총리, 아누틴 찬위라꾼 태국 총리, 사나나 구스마오 동티모르 총리, 팜 민 찐 베트남 총리, 이재명 대통령,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 리창 중국 총리,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 헝쭈은 나론 캄보디아 부총리, 손싸이 시판돈 라오스 총리. 2025.10.27 xyz@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이틀째인 27일(현지시간) 아세안과 한중일 등 주요국 정상들은 잇따른 다자 회의와 양자 회담을 갖고 경제·무역 협력 강화 등을 논의했다.
이날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아세안 등 각국 정상들은 거대 다자 자유무역협정(FTA)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자유무역 시장 확대, 무역·투자 협력, 공급망 회복력 강화, 디지털화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2020년 이후 처음 열린 RCEP 정상회의에는 아세안과 한중일·호주 등 회원국 정상들은 물론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 등이 참석했다.
참가 정상들은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과 인구의 약 30%를 포괄하는 RCEP를 통해 세계 보호무역주의의 영향을 완충해줄 방안을 모색했다.
올해 아세안 의장국 자격으로 회의를 주재한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는 "이번 정상회의는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이 한창이던 시기에 (RCEP)협정에 서명한 이후 처음으로 RCEP 정상들이 모이는 자리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고 밝혔다.
이어 RCEP 정신에 명시된 회복력과 공동 번영을 언급, 이번 회의의 전략적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분명해졌다고 말했다.
RCEP 회원국 정상들은 또 그간 가입 의사를 나타낸 칠레·홍콩·방글라데시·스리랑카의 가입을 논의했다. RCEP 회원국은 현재 아세안 10개국과 한중일·호주·뉴질랜드 등 총 15개국이다.
RCEP 정상회의에 앞서 이날 오전 아세안 정상들은 한국-아세안 정상회의,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를 잇따라 열었다.
전날 정상회의 첫날 무대를 주도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흘 동안의 일본 방문을 위해 이날 말레이시아를 떠난 가운데 중국은 이들 회의에서 자유무역 옹호·보호무역주의 반대를 촉구하는 목소리를 냈다.
리창 중국 총리는 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자유무역·다자간 무역체제를 수호하고 모든 형태의 보호무역주의에 반대하며 지역 경제 통합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리 총리는 또 안토니우 코스타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과 만나 EU와 경제·무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리 총리는 "중국은 유럽과 계속 협력의 파이를 키우고 무역 최적화·균형발전을 촉진하며 상호 개방을 확대할 의향이 있다"면서 "유럽에 진출한 중국 기업에 공정하고 공평하며 차별 없는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코스타 의장은 중국의 광물 등 수출 규제 확대에 대한 우려를 전달하고 중국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끝내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냈다.
이재명 대통령도 아세안+3 정상회의 모두발언에서 "오늘 우리는 보호무역주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새로운 지경학적 위기에 봉착해 있다"며 "아세안+3 협력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최근 스캠(사기)센터 등 조직적 범죄단지를 중심으로 한 초국가범죄가 수많은 사람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며 "한국은 아세아나폴(아세안 경찰 협력체)과 긴밀히 협력하겠다. 아세안+3의 관심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이날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도 정상회담을 갖고 한국인 대상 사기범죄 등에 대응하는 '코리아 전담반'을 내달부터 운영하기로 합의했다.
아세안은 역내 핵심 이슈 중 하나인 미얀마 내전 문제와 관련해 공동 성명에서 미얀마 군사정권의 총선 계획에 대해 "폭력 중단과 포용적인 정치 대화가 선거에 앞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세안은 특히 미얀마 군사정권이 요청해온 선거 참관단 파견을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다고 외교 소식통들이 AFP 통신에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외교관은 "아세안 차원의 참관단은 없지만 (개별) 아세안 회원국은 자유롭게 참관단을 보낼 수 있다"고 말했다.
미얀마 군사정권은 오는 12월부터 지역별로 세 차례로 나눠 총선을 실시하겠다면서 아세안 등에 참관단 파견을 촉구해왔다.
하지만 아세안이 이런 요청을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군사정권의 선거 정당성 확보 노력은 차질을 겪게 됐다.
국제사회에서는 군사정권이 추진하는 총선이 공정성이 결여된 사실상의 군부 통치 장기화 수단이라면서 반대하는 여론이 높다.
카샤 올롱그렌 EU 집행위원도 미얀마 총선이 자유롭지도 공정하지도 않을 것이라면서 "선거로 인정하지 않는 선거에는 참관단을 파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jh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