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랏빛 광화문, 이태원참사 3주기 기억식…정부 첫 공식행사(종합)
김민석 총리·외국인 희생자 유가족 등 2천여명 참석
李대통령 "국민께 깊이 사과"…유가족 "비극 헛되이 하지 않길"
X
이태원 참사 3주기 기억식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김민석 국무총리, 우원식 국회의장,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 조국혁신당 조국 비상대책위원장 등이 2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 기억식에서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2025.10.29 ondol@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차민지 기자 =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를 맞아 정부 차원의 첫 공식 추모행사가 2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렸다.
행정안전부는 10·29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10·29이태원참사 시민대책회의, 서울시와 이날 오전 10시 29분 '이태원 참사 3주기 기억식'을 공동 개최했다.
정부가 유가족과 공동으로 공식 추모행사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행사는 정부대표가 처음으로 참석해 10.29이태원참사 희생자를 진정으로 추모하고 유가족을 위로하는 자리로서 그 의미가 크다고 행안부는 강조했다.
정부 대표로 김민석 국무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우원식 국회의장, 정당·종교계 인사, 시민단체 관계자, 일반 시민 등 약 2천명이 함께했다.
유가족과 시민들은 이태원 참사 상징색인 보라색 재킷 등을 입고 애도의 뜻을 전했다.
X
이태원 참사 3주기 기억식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2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 기억식에서 유가족들이 추모 묵념을 하고 있다. 2025.10.29 ondol@yna.co.kr
기억식은 오전 10시 29분부터 1분간 울린 추모사이렌과 함께 희생자를 기리는 묵념으로 시작됐다.
사이렌은 참사 3년만의 진정한 추모와 우리 공동체의 책임, 그리고 비극적인 참사 재발 방지를 위한 다짐 등의 의미를 담았다.
이재명 대통령은 영상으로 전한 추모사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책임지는 대통령으로서 참사 유가족과 국민들께 다시 한번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미흡했던 대응, 무책임한 회피, 충분치 않았던 사과와 위로까지 이 모든 것들을 되돌아보고 하나하나 바로잡아 가겠다"고 강조했다.
송해진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국가가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가장 기본적인 의무를 다했다면, 159명의 희생자는 지금 우리 곁에서 각자의 내일을 살고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오늘은 참사 3년 만에 정부가 처음으로 유가족과 시민들 곁에 섰지만, 이것은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오늘의 약속이 내일의 행동으로 증명돼야 한다"고 말했다.
송기춘 10.29이태원참사특별조사위원장은 "시민단체가 주관하는 기억식이 정부에 대해 진상 규명과 해결을 촉구하는 것이라면, 정부가 함께하는 기억식은 국가 스스로 참사의 진상 규명과 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 개선 등의 전반적 노력에 대한 의지를 표방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특조위는 251건에 대한 조사 개시 결정을 했고, 자료 수집과 분석, 관련자 진술 조사, 현장 조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며 "진실을 충실하게 밝혀 곧 국민께 보고드리겠다"고 강조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참사의 재발을 막기 위해 '생명안전기본법'을 반드시 통과시키겠다는 뜻을 밝혔다.
우 의장은 "국회는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것이 가장 큰 책무라는 국민적 합의를 반드시 입법으로 완성하겠다"며 "생명안전기본법을 꼭 통과시키겠다"고 밝혔다.
이어 "희생자와 유족을 향한 모욕과 혐오가 더는 발붙이지 못하도록 대책 강화에 힘을 쏟겠다"며 "그것이 우리 사회가 더 단단한 민주 공동체로 나아가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X
이태원 참사 3주기 기억식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2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 기억식에서 유가족들이 추모 묵념을 하고 있다. 2025.10.29 ondol@yna.co.kr
노르웨이 희생자 스티네 에벤센의 어머니 수잔나 에벤센도 기억식에 참석해 추모사를 낭독했다.
수잔나씨는 "2023년 10월 1주기 추모식 소식을 듣고 한국을 찾았고 한국의 부모님들이 1년 내내 싸워왔다는 사실을 알게됐다"며 "새 정부와 진행 중인 조사 속에서 무엇이 기다리고 있을지 모르지만, 스티네와 그녀의 친구들, 세상을 넘어 우리를 이어주는 사랑을 믿는다"고 흐느꼈다.
이날 기억식에서는 추모영상이 상영됐다. 영상은 참사 발생 이후 지난 3년의 세월을 돌아보며 진정한 애도와 진상규명을 다짐하는 내용으로 구성됐다.
박소란 시인의 추모시 낭송에 이어 가수 안예은이 노래 '상사화'와 '만개화'를 부르며 희생자들을 기렸다.
희생자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든 '찬란히 빛나는 나의 별' 뮤지컬 공연 후에는 10.29이태원참사 시민대책회의에서 공동선언문을 낭독하며 행사가 끝났다.
대책회의는 선언문에서 "3주기 기억식은 안전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또 다른 시작점이 될 것"이라며 "이태원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고 생명과 존엄이 지켜지는 사회를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cha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