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 세종’, 대한민국 소멸 막는 첫 단추... 사진: 세종시청사


최민호 세종특별자치시장이 대한민국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할 유일한 해법으로 ‘행정수도 세종 완성’을 제시했다.

최 시장은 12일 인천에서 열린 제8회 한일시장지사회의 본회의에서 “행정수도 완성은 인구감소와 지방소멸을 극복하는 첫 단추”라며 “중앙행정 기능의 세종 이전은 단순한 도시개발이 아니라 국가적 위기 극복의 핵심 전략”이라고 밝혔다.

한일시장지사회의


이번 회의에는 한국 5개 시·도와 일본 9개 현 등 양국의 14개 광역자치단체장이 참석했으며, ‘경제 및 산업 협력 방안’과 ‘인구감소 및 지방소멸 대응 시책’을 중심으로 논의가 이뤄졌다.

최 시장은 발표에서 “고령화와 수도권 과밀화는 양국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구조적 문제”라며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지방의 자립성을 높이는 것이 양국의 공통 과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세종시가 국가균형발전의 상징으로 태어난 도시임을 강조하며, 행정수도 완성을 통해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열어가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세종의 자족기능 강화를 위한 핵심 전략으로 ▲중부권 메가 싱크탱크 조성 ▲수도권 명문대 유치 ▲글로벌 산업인재 육성체계 구축을 제시했다.

한일시장지사회의


최 시장은 “수도권 명문대를 세종으로 이전하고, 세종의 국책연구기관과 대전 대덕연구단지를 연계하면 국가 두뇌가 모이는 ‘메가 싱크탱크 지구’를 조성할 수 있다”며 “한글문화도시 세종에 국제폴리텍대학을 설립해 외국인 기술인재를 양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의는 한일 교차발표와 공동합의문 서명, 공식 만찬 등을 통해 양국 지방정부 간 교류를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최민호 시장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열린 이번 회의는 인구감소와 지방소멸이라는 공동 위기에 맞서는 상징적인 자리였다”며 “일본 지방정부와의 교류를 확대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협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노동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