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中대사, 한미 핵잠 논의에 '우려'…"신중히 처리하길"
기자간담회서 밝혀…"한중 문화교류 활성화 꼭 필요한 일"
"반중시위로 한국도 피해"…"한미동맹, 대만 문제서 불장난 말아야"
X
기자간담회서 발언하는 다이빙 주한중국대사 (서울=연합뉴스) 김지연 기자 = 다이빙 주한중국대사가 13일 서울 중구 주한중국대사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1.13. photo@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김지연 기자 = 다이빙 주한중국대사는 13일 한미가 논의하는 원자력(핵)추진잠수함 도입 문제와 관련해 중국이 우려를 표명했다며 한국이 이 사안을 신중히 다루길 바란다고 밝혔다.
다이 대사는 서울 중구 주한중국대사관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의 핵잠 도입 문제와 관련해 한중 양측이 외교경로로 소통 중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강조하고 싶은 것은 지금 한반도·지역 정세가 여전히 복잡하고 민감하다는 점"이라며 "한미 핵추진잠수함 협력은 단순한 상업적 협력 차원을 넘어 세계적인 핵 비확산 체제와 한반도 및 역내 안정과 직결되는 사안"이라는 기존 중국 외교부 입장을 다시 풀어냈다.
그러면서 "한국 측이 각측의 우려를 충분히 고려해 이 문제를 신중히 처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다이 대사는 한미 양국이 변화한 지정학적 안보 환경에 맞게 동맹을 현대화하는 작업에 대해서도 한미동맹 역할이 대북 대응을 넘어 미국의 의도처럼 대중 견제로 확대돼선 안 된다는 취지의 입장을 보였다.
그는 "한미동맹은 역사적으로 형성된 것이고 우리도 존중한다"면서도 "한미동맹의 전략적 목적에 변화가 생긴다면 한미동맹을 바라보는 중측 시각도 달라질 수 있다"고 경계했다.
주한미군이 대만 유사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일각의 관측에 대해선 "관련해 새로운 동향이 있다면 중측은 엄중한 우려를 표명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중 수교문서에 대만이 중국의 일부라는 '하나의 중국' 원칙이 명기됐다고 상기한 뒤 중국 내정인 대만 문제에 그 어떤 외부 간섭도 용납할 수 없다며 "한미동맹도 결코 대만 문제에 있어 불장난하지 않길 바란다"고 경고했다.
미중 무역협상에 따라 중국이 1년 유예한 한화오션의 미국 자회사 제재는 미국의 중국 조선업 조사 실시에 대응해 이뤄진 것이라면서도 "이 사안은 한국이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고 교훈을 얻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중국 이익이 침해되는 어떤 행위도 중국은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이 대사는 "우리는 한국 측이 중국, 미국과의 관계를 병행해 발전시킬 충분한 능력과 지혜를 갖추고 있으며, 이것이 한국 측의 이익에 가장 부합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X
기자간담회서 발언하는 다이빙 주한중국대사 (서울=연합뉴스) 김지연 기자 = 다이빙 주한중국대사가 13일 서울 중구 주한중국대사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1.13. photo@yna.co.kr
중국이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에 일방적으로 설치한 구조물에 대해선 중국 해산물 수요 증가에 대응하는 심해 양식 사업이라 재차 강조했다.
이어 "관련 사안 해결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어업협정 개정이나 한중 해양 경계 협상 가속화 등을 포함해 양측이 논의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한중 경주 정상회담에서 공감대를 이룬 문화교류에 대해선 "양측 문화교류를 활성화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고 꼭 필요한 일이기도 하다"며 "건전하고 유익한 문화교류라면 지지한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다이 대사는 "현재 중한관계 개선세는 쉽게 얻어진 것이 아니며 소중히 여겨야 한다"면서 반중시위에 대해 여러 차례 우려를 표했다.
그는 "한국의 일부 세력이 중한 관계 개선을 바라지 않으며 혐중감정을 부추기고 반중 시위를 조장한다"며 "이들은 중국 카드를 이용해 정치적 이익을 노리는 것인데 결국 피해 보는 것은 한국의 이미지와 이익"이라고 지적했다
kit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