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계 인권공로상에 '채상병 사망사건 외압 저항' 박정훈 대령
"진실규명은 진보·보수 문제 아니다"…불교인권상에 비전향장기수 안학섭 씨

X
인권공로상 받은 박정훈(가운데) 대령 [촬영 이세원]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이세원 기자 = 불교인권위원회(이하 위원회)는 해병대 채수근 상병 사망 사건의 진상을 밝히기 위해 상부의 압력에 저항한 박정훈(53) 대령에게 20일 인권공로상을 수여했다.

위원회는 이날 서울 종로구 소재 창덕궁 소극장에서 창립 35주년 기념식을 겸해 열린 제31회 불교인권상 시상식에서 '정당하지 않은 명령은 (거부해도) 항명이 될 수 없다'고 박 대령이 외친 것은 "부당한 명령에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보여준 인권지킴이의 모범사례"라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박 대령은 "죽음의 진실을 밝히고 책임을 묻는 것은 좌나 우의 문제도 아니고 진보 보수의 문제도 아니다"라며 "우리나라가 조금 더 민주화되고 정의로운 국가가 될 수 있다면 저 역시 기쁜 마음"이라고 소감을 말했다.

X
불교인권상 받은 비전향 장기수 안학섭(오른쪽) 씨 [촬영 이세원]

위원회는 비전향 장기수 안학섭(95) 씨에게 불교인권상을 수여했다.

안씨는 한국 전쟁 중인 1953년 4월 체포·구금돼 국방경비법 위반(이적죄)으로 유죄 판결을 받고 42년간 복역한 후 1995년 출소했다. 그는 자신이 전쟁 포로로서 북으로 송환됐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신념의 고향'인 북으로 가겠다는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다.

불교인권위는 안씨에 대해 "인간의 신념을 법으로 통제해서는 안 된다는 인류애를 받들어 수상자로 선정했다"며 "인권상을 계기로 안학섭 선생께서 하루속히 신념의 고향으로 돌아가기를 바란다"고 논평했다.

안씨는 "(나에게) 불교인권상을 주는 것은 분단 시대에 파묻힌 인간의 존엄성을 끊임없이 외치라는 뜻임을 알고 있다"며 "죽는 그날까지 분단의 모순과 갑오년의 척양척왜 정신의 깃발을 높이 들고 한 점 부끄럼 없이 살다 가겠다"고 말했다.

sewon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