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 영장심사 '째깍째각' 긴장 고조…국힘, 기각 호소·반격 채비
"기개·양심 믿는다"…野탄압용이라고 규탄하며 법원에 기각 촉구
계엄1년·장동혁 취임 100일 맞물리면서 지도부 대응 방안 고심
X
본회의 출석한 장동혁 대표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27일 국회 본회의에 출석해 회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2025.11.27 ondol@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김연정 조다운 노선웅 기자 = 12·3 비상계엄 당시 원내대표였던 추경호 의원의 체포동의안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국민의힘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다음 달 초 법원에서 구속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영장이 발부될 경우 '위헌 정당 해산 심판' 공세를 벌여온 더불어민주당의 이른바 내란 정당 비판이 더 거세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국민의힘은 우선 추 의원에 대한 국회의 12·3 비상계엄 해제 의결을 방해한 혐의 적용에 대해 야당 탄압이라며 강경한 기조로 대응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날도 본회의 표결에 불참하고 로텐더홀에서 규탄대회를 개최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 자리에서 '정치보복 STOP 불법특검 OUT, 이재명 정권·민주당 독재에 맞서 국민과 함께 승리' 현수막을 펴고 "야당탄압 민생파괴 불법특검 해체하라"는 구호를 외쳤다.
장동혁 대표는 규탄사에서 추 의원 체포동의안 표결에 대해 "조금 전 본회의장 모습은 민의의 전당이 아니라 인민재판장이었다. 야당을 없애려 의회민주주의 심장에 칼 꽂은 정치 테러"라며 "오늘 민주당 의원들이 누른 (체포동의안) 찬성 버튼은 내란 몰이 종식 버튼이 되고, 정권의 조기 종식 버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했던 우재준 청년최고위원은 "검찰, 사법부, 언론, 야당을 장악하려면 국민의힘이 없어져야 하고 그 수단으로 추 전 원내대표에게 누명을 씌우려는 것"이라며 "우리 당을 내란으로 몰아 독재로 가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X
추경호 체포동의안 표결 앞둔 국민의힘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유상범 원내운영수석부대표 등 의원들과 대화하고 있다.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는 계엄 해제 의결을 방해한 혐의(내란 중요임무 종사)로 내란 특별검사팀에 의해 구속영장이 청구된 추경호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 요구서(체포동의안)를 표결한다. 2025.11.27 utzza@yna.co.kr
국민의힘은 나아가 사법부에도 현명한 판단을 압박했다.
국민의힘은 구속영장 기각될 경우 이를 계기로 여당의 내란 몰이 공세에 대한 반격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장 대표는 "우리는 영장이 기각될 것을 100% 확신한다. 영장이 기각되고 민주당의 내란몰이가 종식되면 이제 민주당이 저지르는 진정한 내란에 대한 국민 심판이 시작될 것"이라고 말다.
송언석 원내대표도 오전 의원총회에서 "대한민국 사법부의 기개와 양심이, 이 땅에 상식과 민주주의가 살아있다고 믿는다"며 "그렇기에 추 전 원내대표에 대한 엉터리 구속영장은 반드시 기각될 것이라 믿는다"고 했다.
당 지도부는 이날 본회의 직전 진행된 비공개 오찬에서도 향후 상황을 점검하고 대응 전략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동욱 최고위원은 오찬 뒤 기자들과 만나 "영장 적시 내용이 대부분 허구에 가깝고 특검이 몇 조각 추론에 맞춘 영장이라 발부 가능성이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영장이 기각되면 민주당과 특검이 그동안 해 온 내란 몰이, 내란 정당화 도 상당 부분 허구라는 게 알려질 것이고, 그에 따라 이를 극복해나갈 전기가 될 것이란 의견이 있었다"고 전했다.
당내에선 계엄 1년을 앞두고 '사과 및 윤석열 전 대통령과 절연' 요구가 나오는 상황과 추 의원의 영장 문제가 맞물리게 된 상황에 대한 우려도 일부 감지된다.
추 의원의 구속영장 심사가 비상계엄 1년이자 장동혁 대표 취임 100일인 다음 달 3일쯤 진행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는 점에서다.
당 지도부는 비상계엄에 대한 입장 표명 수위와 향후 당의 대여 투쟁 방식이 추 의원 구속 여부와 연동돼 있다고 보고, 영장 심사 결과에 따라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yjkim8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