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의경 [ 無量義經 ]
요약 제(齊)의 담마가타야사(曇摩伽陀耶舍)가 번역한 불경.
481년 간행되었다. 예로부터 법화삼부경의 하나로 알려져왔다.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가 번역했다고도 하고 중국에서 지은 것이라고도 한다. 《개경(開經)》이라고도 부른다. 경전의 명칭은 《묘법연화경》 서품에서 유래하였다는 설도 있고, 자체 내용에서 유래하였다는 설도 있다. 《묘법연화경》 서품에 ‘모든 보살을 위해 대승경(大乘經)을 설하니 그 이름을 무량의(無量義)라 하였다.’는 내용이 나오고, 자체 내용에도 ‘성욕이 무량하기에 설법도 무량하며, 설법이 무량하기에 의(義)도 역시 무량하다. 무량의란 일법(一法)에서 생긴다. 그 일법은 곧 무상(無相)이다.’라고 적혀 있기 때문이다. 모두 3품으로 나뉘며, 내용은 대부분 《묘법연화경》에 근거한다. 제1품 덕행품(德行品)에서는 불제자의 덕행을 밝히고 있고, 제2품 설법품(說法品)에서는 설일체제법(說一切諸法)과 실상(實相)·무이언유일음(無二言唯一音)·방편설(方便說)을, 그리고 제3품 십공덕품(十功德品)에서는 십부사의(十不思議)의 공덕을 설명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무량의경 [無量義經]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법화삼부경 [ 法華三部經 ]
법화부의 세 가지 근본 경전. 무량의경(無量義經)·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관보현보살행법경(觀普賢菩薩行法經). [네이버 지식백과] 법화삼부경 [法華三部經] (시공 불교사전, 2003. 7. 30., 곽철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