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_민간 주도의 우주선 개발시대 열어


[대전=불교일보] 동강기자 = 과학수도 대전이 우리별 1호부터 누리호에 이르기까지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역사적 발상지로서, 이제는 미래 우주산업을 선도하는 신(新) 중심지로 도약한다.

대전시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제15차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대전 우주기술 연구·활용 특구’가 2025년도 규제자유특구로 최종 선정됐다.

이번 특구는 대전시가 전반적인 기획을 총괄하고, 대전테크노파크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지역의 핵심 기관이 공동 참여하는 민‧관 협력 모델로 추진된다. 항공우주연구원은 실증 사업을 총괄하며, 테크노파크는 기업 지원과 운영을 담당하고, 참여 민간기업은 부품 개발 및 성능 검증을 수행하게 된다.

특구 조성은 유성구와 대덕구 일원 약 515만㎡ 규모로 2025년부터 2029년 말까지 5년간 운영되며, 총 194억 원이 투입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AIST 등 11개 우주 관련 기관 및 기업이 참여하여 고압가스를 기반으로 한 우주추진 부품의 시험·제작·인증 등 전 주기 실증에 나선다.

특히, 고압가스안전관리법 등 관련 규제의 일부를 유예 또는 완화함으로써, 실제 산업 환경에서 고압가스를 활용한 부품의 시험·인증 과정을 실증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기술 혁신뿐 아니라, 우주산업 기업의 시장 진입장벽을 낮추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특구 지정은 약 9개월간 지역 연구기관과 기업 간 긴밀한 협의와 전략적 기획을 통해 이뤄진 결과로, 기존 국가 주도 방식에서 벗어나 민간 주도의 기술 실증 및 사업화를 촉진하는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대전시_민간 주도의 우주선 개발시대 열어


대전시는 이번 특구 운영을 통해 2025~2029년 기간 동안 약 675억 원의 생산 유발 효과와 389명의 고용 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2030 대전 우주산업 육성 종합계획’과 연계하여 누적 1조 3천억 원 규모의 생산 유발 효과를 창출할 방침이다.

아울러, 우주추진 기술의 원천 연구와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우주산업 클러스터의 핵심 축으로서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대전은 대한민국 우주산업의 시작이자, 세계를 향한 미래 우주도시로 도약할 잠재력을 가진 도시”라며 “이번 특구 지정을 계기로 민간 주도의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글로벌 우주경제를 선도하는 중심지로 발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