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기업 76% "자금난으로 R&D 차질"…R&D·지원펀드 확대해야
한국바이오협회, 차기 정부 산업 생태계 조성 10대 과제 제안
X
한국바이오협회 설문조사 [한국바이오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국내 바이오 기업 74%가 자금 사정이 원활하지 않고 38%는 경영권 매각을 검토한 적이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바이오협회는 21일 이런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차기 정부에 산업 생태계 조성 10대 과제를 제안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국내 바이오기업 136개 사 최고경영자 및 임원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에 따르면 기업 중 74%가 현재 자금 사정이 원활하지 않으며, 76%는 자금난으로 연구개발(R&D) 일정에 차질이 발생했다고 답했다.
앞으로 자금 사정이 언제쯤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는지에 대해서도 58%가 알 수 없다고 답했다.
기업 중 38%는 자금난으로 경영권 매각을 검토한 적 있다고 답했고, 현재 매수자가 제안하면 매각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는 있다는 응답이 47.8%로 절반 수준이었다.
다만 창업하기 잘했다는 응답은 71%로 사명감과 보람, 시장성에 대한 확신 등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외부 환경이 녹록지 않지만, 업계 회복과 정부 지원 기대, 바이오산업 성장성 때문에 희망을 보고 있다는 응답도 많았다고 협회는 밝혔다.
차기 정부가 업계를 살리기 위해 취해야 할 조치로는 R&D 예산 확대, 바이오 지원 펀드 결성 확대 등이 꼽혔다.
법차손 등 상장규제 개선을 비롯한 규제 해소가 필요하다는 의견과 함께 정권에 따른 정부 정책의 일관성 부재도 걸림돌로 지목됐다.
X
바이오협회 제안 10대 과제 [한국바이오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바이오협회는 이번 설문을 바탕으로 차기 정부에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창업, R&D 등 개선책을 담은 10대 과제를 제안했다.
우선 창업 확대를 위해 '코리아 바이오 부트 캠프'를 운영하고 바이오 R&D를 확대하고 대규모 상업화 펀드를 조성하는 '블록버스터 신약 만들기'를 가동할 것을 협회는 조언했다.
또 AI 신약개발 촉진을 위해 정부, AI 개발사, 제약사, 투자사로 구성된 '바이오 스타게이트'를 출범하고 스타트업을 위한 모태펀드 확대, 데스밸리 넘기 프로젝트 등도 제안했다.
기술특례 상장 및 유지 조건을 완화하고 현장 인력 양성을 위한 아카데미 추진, 바이오 규제개혁 담당관 운영 등도 요청했다.
이와 함께 협회는 기술사업화 지원,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강화, 인허가 지원 '바이오 수출통상지원센터' 설립, '바이오산업 종합 육성법' 제정 등도 제안했다.
이날 바이오협회는 이번 발표와 관련해 '위기의 K바이오, 글로벌 바이오강국으로의 대전환을 위한 토론회'를 열어 산학연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었다고 밝혔다.
토론회에는 이상엽 국가바이오위원회 부위원장, 권석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 이병건 지아이이노베이션[358570] 고문, 황만순 한국투자파트너스 대표 등이 참석했다.
토론회는 바이오협회 유튜브를 통해 볼 수 있다.
X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 혁신 토론회 [한국바이오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hjo@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