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광역시 청사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공동위원장 이창기·정재근)는 7월 18일, 대전·충남 시도민 10명 중 6명이 광역 통합에 공감하고 있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엠브레인퍼블릭이 문화일보 의뢰로 7월 11일부터 14일까지 대전·충남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65%가 대전·충남 통합 추진에 대해 ‘공감한다’고 응답했다. 이 가운데 ‘매우 공감’은 16.9%, ‘다소 공감’은 48.1%였다. 반면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35%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충남 서북권(77.3%)과 동남권(71.1%)의 공감률이 특히 높았으며, 연령대별로는 60대(72.9%)와 40대(69.1%)에서 높은 지지를 보였다. 직업군에서는 자영업자(76.3%)와 무직·은퇴자(72.9%)의 응답 비율이 두드러졌다.

행정통합의 기대효과로는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대가 가장 컸다. 전체 응답자의 65.3%가 “경제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통합에 공감하는 응답자 가운데는 88.9%가 경제적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절차 추진과 관련해서는 응답자의 60.7%가 “2026년 지방선거 이전 통합 절차 완료”를 희망한다고 밝혔으며, 공감 응답자 중에서는 81.5%가 조속한 추진에 동의했다. 이는 특별법 제정과 제도 정비를 통한 실질적인 성과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충남도 청사


이창기 공동위원장은 “행정통합은 지역소멸을 막기 위한 구조개혁으로, 현 정부의 공약에도 포함돼 있다”며 “정치적 이해득실을 넘어서 국민과 지역을 위한 선택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한 “이번 여론조사는 통합에 대한 시도민의 분명한 의지를 보여주는 결과로, 정부가 이를 행정체계 개편의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재근 공동위원장은 “행정통합은 단순한 행정구역 통합이 아니라 지역 정체성과 미래 비전을 새롭게 설계하는 일”이라며, “시도민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면서 행정 효율성, 재정 분권, 균형발전 등을 함께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민관협의체는 지난 7월 14일 ‘대전충남특별시 설치 및 경제과학수도 조성을 위한 특별법(안)’ 최종안을 양 시도지사 및 시도의회의장에게 전달했다.

양 시도는 오는 8월 국회 발의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행정안전부의 검토와 국회 심사를 거쳐 올해 12월 본회의 통과를 추진 중이다. 민관협의체는 향후 정부 차원의 본격적인 추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절차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ChatGPT에게 묻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