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군정, 4년반만에 국가비상사태 해제…총선 준비 본격화
연말 선거 실시 예정…야권 "군부 통치 정당화 사기극" 보이콧

X
미얀마 군정 수장 흘라잉 최고사령관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손현규 특파원 = 2021년 쿠데타로 집권한 뒤 군부 통치를 이어온 미얀마 군사정권이 4년반 만에 총선을 치르기 위해 국가비상사태를 해제했다.

31일(현지시간) AFP 통신 등에 따르면 조 민 툰 미얀마 군정 대변인은 이날 기자단에 배포한 음성 메시지를 통해 "국가비상사태는 오늘 해제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당제 민주주의를 향한 선거를 하기 위해 이번 조치를 했다"며 "선거는 앞으로 6개월 안에 실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얀마 군부는 아웅산 수치 국가고문의 민주주의민족동맹(NLD)이 압승을 거둔 2020년 총선을 부정선거라고 주장하며 이듬해 2월 1일 쿠데타를 일으켰다.

4년 넘게 국가비상사태를 유지하며 군부 통치를 이어온 군정은 올해 12월 민정 이양을 위해 총선을 치를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이날 군부 행사에서 연설을 통해 "우리는 이미 첫 번째 장을 넘겼고 이제 두 번째 장을 시작하고 있다"며 "이번 선거는 올해 12월에 열릴 것이고 모든 유권자가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미얀마 민주 진영과 미국 등 서방국은 군정 주도 선거는 군부 통치를 장기화하기 위한 꼼수라며 반대해왔다.

쿠데타로 축출된 전직 국회의원 등 야권 인사들은 이번 총선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상태다.

정치 전문가들도 흘라잉 최고사령관이 총선 이후 대통령이나 군 최고사령관 지위를 유지하며 사실상 권력을 계속 장악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엔 관계자는 지난달 "이번 선거는 군부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한 사기극"이라고 비판했다.

미얀마 군정은 아직 선거 날짜를 공식 발표하지 않았지만, 정당 등록 절차는 이미 진행 중이며 전자투표기 사용을 위한 교육도 열렸다고 AFP는 전했다.

또 군정은 선거 과정을 방해하려는 발언이나 시위를 하면 최대 징역 10년을 선고하는 새 법도 제정했다.

내전 중인 반군이 총선을 앞두고 군정을 상대로 무력시위를 벌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에 군정은 이달부터 무장 해제를 조건으로 보상금으로 주고 있다.

s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