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7개 시스템 마비시킨 국정자원 화재…디지털정부 위상에 오점
정부24·모바일 주민등록증·온나라시스템 마비…민원 현장 큰 혼란
X
화재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연합뉴스) 신현우 기자 =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전날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됐다. 2025.9.27 nowwego@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차민지 기자 =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정부를 구현하겠다는 한국 정부의 청사진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사태로 중대한 시험대에 올랐다.
27일 정부에 따르면 전날인 26일 국정자원 대전 본원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국정자원이 운영하는 647개 업무 시스템이 멈추면서 무인민원발급기와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 정부24 등이 동시에 마비됐다.
국민신문고 접속이 끊기고, 내부 행정망인 '온나라시스템'까지 작동을 멈추면서 주말 근무를 위해 출근한 공무원들도 정상적인 업무를 하지 못했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올해 주요업무 계획의 3대 핵심 분야 가운데 하나로 '디지털 정부'를 내세우며 서비스 장애 예방과 안정성 확보를 약속했다.
특히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내 디지털안전상황실을 중심으로 중앙·지방자치단체·공공기관의 디지털 행정서비스 상황을 통합 관리하고, 민관합동으로 행정서비스 장애에 신속히 대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정작 행정서비스의 심장부인 국정자원에서 화재가 발생하며 이같은 대책이 무색해졌다.
디지털 정부가 외형 성장에만 치중한 나머지 민원 행정이 구현되는 현장에서 내실을 기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오는 지점이다.
X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정부24 홈페이지 서비스 중단 (서울=연합뉴스)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 있는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이 중단된 것으로 파악됐다.
27일 정부24 서비스 홈페이지에 서비스 일시 중단 안내문이 표시되고 있다. 2025.9.27 [정부24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한국은 그동안 국제사회에서 디지털 정부 분야의 모범 사례로 꼽혀왔다.
2019년과 2023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디지털정부 평가에서 2회 연속 종합 1위를 차지했고, 2024년 유엔 전자정부평가에서도 193개 회원국 중 4위를 기록했다.
개발도상국 공무원들이 매년 한국을 찾아 전자정부를 배우고, 디지털 정부 선도국 협의체인 '디지털 네이션스'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이번 사고로 그간 쌓아온 명성에 흠집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일단 시스템 정상화 이후로 세금 납부, 서류 제출 기한 등을 연장하고, 국민이 기존 온라인 서비스를 대신해 이용할 수 있는 대체 서비스를 안내하고 있다.
김민재 행안부 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민원 처리가 지연돼 국민들이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시스템 정상화 이전에 도래하는 세금 납부, 서류 제출은 정상화 이후로 연장하도록 유관기관에 안내하고 협조를 구했다"고 전했다.
이어 "국민께서 정부서비스 장애 발생을 미처 알지 못해 당황하시는 일이 없도록, 오늘 오전 8시 재난문자를 발송했다"면서 "국민신문고 등 주요 정부서비스 이용이 제한된다는 것과 관공서 방문 전 서비스 가능 여부를 확인해주실 것을 안내했다"고 덧붙였다.
X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무인민원발급기 먹통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 있는 전산실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가동이 중단된 것으로 파악됐다.
27일 서울 시내 한 지하철역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에서 한 시민이 서류가 발급되지 않아 '자료 수신 중입니다'라는 문구가 나오는 화면을 바라보고 있다. 2025.9.27 ksm7976@yna.co.kr
cha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