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때보다 더 어렵다…제조업 75% "올해 영업익 목표 미달"
대한상의 조사…법인세 인상, 상법·공정거래법 등 기업규제 우려 커

(기사발신지=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제조기업들의 경영 실적 전망이 코로나19 팬데믹 당시보다 더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 법인세 인상, 상법·공정거래법 등을 포함한 규제 강화가 경영 부담에 대한 우려를 심화시킨 것으로 분석된다.

X
경기 화성시의 한 알루미늄 제품 제조업체 공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20일 전국 제조기업 2천275개를 대상으로 '2025년 기업 경영실적 전망 및 애로 요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제조기업 75.0%가 올해 영업이익이 연초 설정한 목표 수준에 미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이후에 진행된 조사에서 '목표치 미달'에 응답한 기업 비중(74.0%)보다 높은 수준이다.

올해 영업이익이 목표치 수준에 부합할 것으로 응답한 기업은 20.4%, 목표치를 초과 달성할 것으로 답한 기업은 4.6%에 불과했다.

올해 영업이익 적자를 예상한 기업은 32.1%로, 흑자를 예상한 기업(27.0%)보다 많았다.

지난해 흑자에서 올해 적자로 돌아선 기업 비중은 7.1%로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고 응답한 기업(3.1%)의 두 배를 넘었다.

X
제조기업 2025년 기업 경영실적 전망 및 애로 요인 조사 [대한상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조기업들은 경영상 비용 측면에서 겪고 있는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원자재가 상승'(42.5%)과 '인건비 상승'(30.4%)을 꼽았다. 이어 '관세 증가'(8.9%), '이자 등 금융비용'(8.0%)이 뒤를 이었다.

시장 침체와 함께 물가 상승 및 불확실한 글로벌 통상 환경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가 기업들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기업들이 체감하는 경영 규제로 인한 부담은 오히려 늘어났다는 응답이 많았다.

올해 기업경영 관련 법·제도 부담에 대해 체감하는 변화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과반수(50.5%)는 '변화 없다'고 답했고, 44.3%의 기업은 '부담이 가중됐다'고 응답했다. 부담이 '감소했다'고 답한 기업은 5.2%였다.

정기국회의 입법 논의 중 제조기업들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법인세 인상 등 기업비용 증가(50.5%)'였다.

상법·공정거래법 등과 같은 '기업제도 규제'가 강화를 우려하는 기업도 40.6%로 많았다. '노사관계 부담 증대'(38.6%)를 우려사항으로 꼽은 기업도 적지 않았다.

대한상의는 기업실적 기대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기업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입법과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우리 기업들은 올해 국내외 정치·경제 환경의 급격한 변동 속에서 대외적으로는 관세 부담, 대내적으로는 내수 침체 및 비용 상승 등 복합 리스크를 한꺼번에 감내하고 있다"며 "경영환경이 전방위적으로 악화되고 경기전망 기대감도 바닥에 떨어진 지금이 국회와 정부가 입법을 통해 우리 기업에 힘을 불어넣어야 할 적기"라고 밝혔다.

jakm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