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철 "3천500억달러 투자, 통화 스와프보다는 투자구조 초점"
블룸버그 인터뷰서 "직접투자·대출·보증 혼합 협상 주력" 강조
X
구윤철 부총리, APEC 구조개혁장관회의 주재 (서울=연합뉴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2일 인천 중구 인스파이어 리조트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구조개혁장관회의를 주재, 개회사를 하고 있다. 2025.10.22 [기획재정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3천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와 관련해 통화 스와프보다는 투자 구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다.
23일 관가에 따르면 구 부총리는 전날 공개된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한국 외환시장의 어려움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 상황에 대응할지 논의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베선트 장관을 비롯한 미국 정부는 3천500억달러를 선불로 투자해야 할 경우 한국 외환시장이 충격을 받을 가능성을 인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 원/달러 환율은 관세협상의 불확실성 등의 여파로 1,400원대를 훌쩍 넘었다. 이날 주간 거래 종가는 1,429.8원까지 올랐다.
따라서 한국은 직접투자·대출·보증이 혼합된 균형잡힌 투자의 구성을 협상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구 부총리는 전했다.
구 부총리는 미국의 전액 선불 투자 요구와 관련한 재정적 안전장치, 즉 통화 스와프가 필요할지는 이 구조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통화스와프가 필요할지, 그 규모가 어느 정도일지는 전적으로 어떻게 투자가 구성될지에 달렸다"며 "아예 필요 없을 수도 있고, 소규모로 체결될 수도 있다"고 했다.
구 부총리는 한국산 자동차가 일본산(15%)에 비해 더 높은 25%의 관세를 부과받는 불리함을 적극적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등에게 강조했다고 했다.
그는 "최근 원화 약세는 협상이 마무리되지 않은 불확실성을 반영한다고 본다"며 "관세 문제가 해결되면 불확실성은 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 부총리는 초혁신경제 구축을 위해 인공지능(AI), 디지털 전환, 딥테크 산업에 자원을 집중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를 통해 고령화와 저출생, 국가부채 증가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강조했다.
구 부총리는 올해 49.1%인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2029년 58%까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치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반영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는 단순히 지출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변혁적 기술에 집중해 투자하고 있다"며 "일부만 성공하더라도 채무 비율은 낮아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2vs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