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무장, 전문가에 물었더니 "필요" 12% vs "불필요" 46%
통일연, 안보전문가 52명 대상 설문조사
X
안보전문가집단 설문조사…"핵무장 필요하다" 11.5% [통일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사발신지=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안보 분야 전문가 집단은 일반 여론과 달리 독자 핵무장에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연구원이 24일 공개한 안보 분야 전문가 52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11.5%(매우 필요 7.7%, 필요 3.8%)에 그쳤다.
필요하지 않다(전혀 필요 없음 17.3%, 필요 없음 28.8%)는 응답이 46.5%로 다수였다. 42.3%는 '상황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는 유보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인 대상 설문조사에서 독자 핵무장 지지율이 70% 안팎에 이르는 것과 큰 차이를 보인다.
핵무장 필요성에 찬성하는 전문가들은 그 이유로 모두 '북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독자적 억지능력 확보'를 들었다.
핵무장이 불필요한 이유는 '한국의 안보환경을 더 악화시킬 것'(41.7%), '경제·외교적 타격이 치명적이기 때문'(29.2%), '미국의 확장억제로 충분하기 때문'(12.5%), '한미동맹 파기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8.3%) 순으로 답했다.
X
안보전문가집단 설문조사…"핵무장 추진 계기, 주한미군 철수" 53.8% [통일연구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이 독자적 핵무장을 추진해야 하는 상황 또는 조건에 관한 질문엔 53.8%가 '주한미군 철수'를 골랐고, '북한의 2차 타격 능력 완성'(9.6%), '일본의 핵무장 결정'(7.7%)이 뒤를 이었다. 15.4%는 어떤 조건에서도 핵무장 추진은 불가하다고 답했다.
통일연구원은 "국민과 전문가 집단의 독자적 핵무장에 관한 인식은 분명한 차이를 나타낸다"며 "향후 핵무장 여론조사는 안보 환경과 정책 선택을 다각도로 평가할 수 있는 다층적 문항 구조로 발전해야 한다"고 밝혔다.
tr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