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는 10월 16일 정오 서울역에서 장애인 권리예산 보장과 이동권 보장을 요구하는 시위를 열었다. 전장연은 최근 지하철 주요 역에서 출근길 시위를 반복해왔으며, 이 과정에서 열차 운행이 일부 지연되기도 했다.

이날 현장에서 전장연은 “이동하고 교육받고 노동하며 지역사회에서 함께 살 권리를 보장하라”,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을 전면 시행하라”는 구호를 외치며 장애인 권리 입법과 예산 반영을 촉구했다.

전장연은 한국 사회가 장애인을 시혜와 동정의 대상으로만 취급해왔으며, 시설 중심의 정책은 장애인을 사회로부터 격리·통제하는 수단으로 작동했다고 지적한다. 또한 능력주의와 비용 논리가 중증장애인의 권리를 외면해왔다는 점을 강조하며 구조적 모순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1980년대 장애인 해방운동의 역사를 계승한 전장연은 2002년 ‘장애인의 날’을 ‘장애인차별철폐의 날’로 전환하며 투쟁을 이어왔다. 이 과정에서 노동자, 여성, 성소수자, 이주민 등 다양한 사회운동 세력과 연대를 확대하며, 420장애인차별철폐투쟁으로 대표되는 대중 행동을 전개해왔다.

전장연은 기존 장애인 단체들이 국가 지원금 의존으로 권력의 대리인 역할에 머물렀다고 비판한다. 이에 맞서 전장연은 ▲비장애중심주의 철폐 ▲탈시설 사회 건설 ▲권리중심노동 확대 ▲장애정의 실현 ▲조직 민주화와 성평등 실현 등을 5대 투쟁 과제로 제시했다.

특히 “좋은 시설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며, 장애인이 지역사회에서 자립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기반 마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더 이상 빼앗길 것이 없는 자만이 혁명적일 수 있다”는 선언과 함께, 장애해방을 향한 근본적 사회 전환을 촉구하고 있다.

전장연은 이번 서울역 시위를 통해 다시 한 번 “장애인도 시민으로 이동하는 시대”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권리 보장을 위한 사회적 책임을 강하게 물었다. (불교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