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으로 독립을 썼다"…고려인 언론의 항일정신 재조명
'제2회 홍범도아카데미 포럼' 국회서 개최

X
'제2회 홍범도아카데미 포럼' (서울=연합뉴스) 24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제2회 홍범도아카데미 포럼'에 앞서 공동 주최자인 박홍근(왼쪽서 3번째)의원과 정영순(오른쪽서 3번째)대한고려인협회장이 강연자인 신 드미트리 블라디미로비치(왼쪽서 4번째) 등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한고려인협회 제공]

(기사발신지=연합뉴스) 박현수 기자 = 해외에서 조국의 독립을 위해 펜으로 싸운 고려인 언론인들의 항일정신을 조명하는 학술 포럼이 국회에서 열렸다.

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이사장 박홍근 국회의원)와 대한고려인협회(회장 정영순)가 공동 주최하고 홍범도 아카데미가 주관한 '제2회 홍범도아카데미 포럼'이 24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됐다.

포럼 주제는 '독립운동가 출신 고려인 언론인들-러시아 연해주의 '선봉'에서 카자흐스탄의 '레닌 기치', 그리고 오늘날 '고려일보'로 이어진 언론의 역사'다. 참가자들은 일제강점기 해외에서 언론 활동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한 고려인 언론인들의 정신과 언론사적 의미를 되짚었다.

주제 강연은 러시아어권 고려인 연구자 신 드미트리 블라디미로비치가 맡았다. 그는 독립국가연합(CIS) 지역 한인 포털 아리랑.루(Arirang.ru)와 고려사람(Koryo-saram) 대표로, '소비에트 고려인-사회주의 노동 영웅들', '소비에트 고려인-위대한 조국 전쟁의 전선에서' 등 저서를 통해 고려인의 역사와 공헌을 꾸준히 연구해 온 학자다.

X
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 이사장 박홍근 국회의원 (서울=연합뉴스) 공동 주최자인 홍범도장군기념사업회 이사장 박홍근 국회의원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대한고려인협회 제공]

신 연구자는 고려일보 창간 100주년을 기념해 펴낸 저서를 토대로 "1920년대 러시아 연해주에서 '선봉'이 창간돼 1937년 강제 이주 이후 카자흐스탄의 '레닌 기치'를 거쳐, 오늘날 '고려일보'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언론사 기자와 직원 22명이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며, 이 중 10명만이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서훈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레닌 기치' 기자들은 단순한 언론인이 아니라 조국의 독립과 사회적 각성을 위해 싸운 '펜의 혁명가'였다"며 "고려인 언론은 단순한 정보 전달 수단이 아니라 민족의식과 저항정신을 지켜낸 정신적 요새였다"고 강조했다.

이어 "냉전과 분단의 영향으로 사회주의권 독립운동가들의 업적이 오랫동안 조명받지 못했으며, 참여정부 시기 전향적 정책 덕분에 뒤늦게 10명이 서훈을 받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X
인사말하는 정영순(오른쪽)대한고려인협회장 [대한고려인협회 제공]

반병률 홍범도아카데미 원장(한국외대 명예교수)은 "남북 분단과 냉전으로 인해 구소련 지역 항일운동가들이 제대로 발굴되지 못했다"며 "이번 포럼이 고려인 독립운동가들의 재조명과 서훈 확대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영순 대한고려인협회 회장은 "고려인 사회는 단순한 이주민 공동체가 아니라 한국 근현대사의 일부로, 독립운동의 맥을 이어온 공동체"라며 "이들의 업적을 발굴하고 기록하는 일은 대한민국이 지켜야 할 책임이자 사명"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포럼을 통해 새롭게 알려진 독립운동가들의 이름이 조국에서도 공식적으로 인정받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X
강연하는 신 드미트리 블라디미로비치 [대한고려인협회 제공]

이번 포럼은 고려인 독립운동사 연구를 학문적으로 확장하고, 한국과 독립국가연합(CIS) 지역 학계의 교류를 촉진하는 계기가 됐다. 홍범도 아카데미는 향후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지역 미발굴 고려인 항일운동가들에 대한 조사와 사료 정리 사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다.

phyeons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