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 "임금인상·차별 해결안되면 총파업"
11월 20∼21일, 12월 4∼5일 1·2차 상경 총파업 예고

X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임금인상·차별해소 촉구 기자회견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기사발신지=연합뉴스) 박성진 기자 = 교육 당국과 임금 교섭을 벌여온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임금 인상과 차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11월과 12월 잇달아 총파업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와 전국여성노동조합,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으로 구성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28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연대회의는 "기본급은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하고 그 기본급마저도 방학에는 끊겨 무임금이 된다"며 "정부는 최소한 기본을 보장하라"며 임금 인상을 요구했다.

이어 "일할수록 벌어지는 근속 임금 차별과 지급기준조차 없는 복리후생(명절휴가비) 등 이런 불평등을 올해만큼은 해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대회의는 또 "고강도 위험노동으로 급식실에서 178명이 폐암 산재 판정을 받고, 15명째 숨지는 참담한 현실에 대한 대책도 없다"면서 "이것은 단순한 교섭 요구가 아니라 유보할 수 없는 생존 요구"라고 강조했다.

쟁의행위 찬반 투표에서 연대회의 전국 조합원의 파업 찬성률은 91.8%로 나타났다.

연대회의는 정부와 시도교육청이 이런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11월 20∼21일 1차 상경 총파업, 12월 4∼5일 2차 상경 총파업을 벌이겠다고 예고했다.

이들은 교육 당국과 연내 합의를 이루지 못할 경우 3차 총파업도 단행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대회의는 "정부의 방관과 교육청의 무책임이 계속된다면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최대 규모의 파업이 불가피하다"며 "급식, 돌봄, 특수교육, 교무, 행정, 상담, 시설관리, 도서관, 유치원 등 학교 현장을 멈춰 세울 것"이라고 밝혔다.

sungjin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