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 "핵추진 잠수함, 한미간 실무 협의할 것…신속 추진"(종합)
北 '대화 거부'엔 "2019년과 비교하면 답 나와"…"농축·재처리 美 원칙적 동의"
 
X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조현 장관 (경주=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조현 외교부 장관이 30일 경주 국제미디어센터에서 열린 APEC 합동각료회의(AMM) 기자회견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10.30 saba@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특별취재단 = 조현 외교부 장관은 30일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보유 추진 문제와 관련해 "(한미) 양국간 실무적 협의를 진행해서 신속하게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 장관은 이날 경주 국제미디어센터(IMC)에서 개최된 APEC 외교·통상 합동각료회의(AMM)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최근에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 그 외에도 여러 상황이 대한민국으로 하여금 방위력을 높여야 하는 것(요인)으로 되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전날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핵추진잠수함 건조를 허용해 달라는 취지로 요청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승인 의사를 표했다.
이 대통령이 회담에서 해당 문제를 제기했을 때 트럼프 대통령은 필요성에 공감한다며 '내부적으로 검토할 사안이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조 장관은 전했다.
이어 "그런데 뜻밖에도 트럼프 대통령께서 오늘 아침 자신의 트루스소셜을 통해 이런 데 대한 지지 입장을 밝혔다"고 미국의 승인이 이뤄지게 된 경위를 설명했다.
 
X
APEC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조현 외교부 장관 (부산=연합뉴스) 이동해 기자 = 경주 APEC을 계기로 국빈 방한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부산 김해국제공항에 도착해 조현 외교부 장관과 대화하고 있다. 2025.10.29 eastsee@yna.co.kr
 
농축·재처리 권한 확보를 위한 미국과 협의에 대해선 "핵연료를 생산하고 사용후 핵연료를 재처리함으로써 환경적·경제적 문제를 해결해나가겠다고 설명하고 미국이 이에 원칙적으로 동의했다"며 계속 협상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는 "핵의 무기화와는 전혀 별도의 문제이며 잠재적 핵능력을 키우려는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은 미국의 핵우산 아래 있어 독자 핵무기 개발 필요성을 느끼지 않고 있다며 "핵확산금지조약(NPT)을 준수하고 있다는 점을 확실하게 밝혀둔다"고 거듭 강조했다.
 
X
APEC 합동각료회의(AMM) 기자회견에 쏠린 눈 (경주=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조현 외교부 장관(왼쪽)과 여한구 산업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이 30일 경주 국제미디어센터에서 열린 APEC 합동각료회의(AMM) 기자회견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10.30 saba@yna.co.kr
 
그는 내달 1일 한중정상회담의 기대사항에 대해선 "무엇보다도 양국 정상이 처음 서로 만나서 신뢰를 형성하고 양국관계 전반에 관해 협의를 나누는 일"이라며 "특히 한중 간에는 여러 민생 분야의 협력, 즉 경제 분야의 협력 사안이 많이 있고 또 이런 협의를 통해서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믿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것은 한중이 중요한 서로 이웃으로서 앞으로 관계를 발전적으로 만들어나가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리라고 믿는다"고 전했다.
이날 예정된 한일정상회담의 의의에 대해선 일본에서 새 정권이 탄생했지만 셔틀외교가 계속되길 바란다며 "그런 방향으로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X
APEC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한국 도착 (부산=연합뉴스) 손형주 기자 = 경주 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국빈 방한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0일 부산 김해국제공항에 도착해 조현 외교부 장관의 안내를 받고 있다. 2025.10.30 handbrother@yna.co.kr
 
한편 조 장관은 북미대화 성사를 위해 한국이 북한에 연락을 취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연락을 대한민국이 한 것은 아니고, 어디까지나 미국 측에서 아시는 바와 같이 여러 다양한 메시지를 북에 보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조 장관은 미국의 '다양한 메시지'가 비공개 채널을 통한 메시지를 포함하는지에 대해선 "미국이 공개적으로 발신한 대북 메시지 이후에 어떤 다른 메시지를 보냈는지는 알지 못한다"며 "알고 있다 하더라도 제가 말씀드리는 것은 부적절하다. 북한이 이에 대해 어떻게 대응했는지도 알지 못한다"고 했다.
조 장관이 언급한 미국의 메시지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아시아 순방 기간 수차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보낸 대화 제안을 가리키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북한의 대화 거부 이유에 대해 "합리적인 추론을 해볼 수 있는 것은 과거 2019년과 지금의 북한 상황을 비교해보면 답이 나올 것"이라고만 언급했다.
북한이 2019년 당시보다 핵능력을 한층 고도화하고 국제사회 진영화 추세 속에 중국, 러시아와 단단히 연대를 다진 상황을 가리키는 것이다.
(김효정 이은정 김지연 기자)
kimhyo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