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박선원 "국정원 '김성태 대북송금 불분명'…도박 관련성 시사"(종합2보)
정보위 국감…"李대통령 경기지사 당시 대북송금 정황 확인안돼"

"박지원, 국정원장 당시 서해 공무원 피살사건 자료 삭제 지시 안해"

SK 해킹 北그룹 공격설에 국정원 "모든 가능성 열어둬…국조실·통일부에도 침투"

X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원에 대한 국정감사 (서울=연합뉴스) 국정원 김희수 기획조정실장(왼쪽부터), 이동수 제1차장, 이종석 원장, 김호홍 제2차장, 김창섭 제3차장이 4일 서울 서초구 내곡동 국가정보원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원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있다. 2025.11.4 [국회사진기자단] photo@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최평천 노선웅 기자 = 국회 정보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박선원 의원은 4일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이 북한 측에 줬다고 하는 돈이 어디로 누구에게 갔는지 불분명하고 도박과 관련 있다는 점을 국가정보원이 시사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이날 서울 국정원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원회의 비공개 국정감사 이후 기자들과 만나 국정원의 자체 특별감사를 보고받았다며 이같이 전했다.

그는 "김 전 회장이 필리핀의 카지노에서 고액 게임을 했고 수십억 원의 채무를 졌다"며 "소위 경기도 스마트팜 건설사업을 한다는 명목으로 김 전 회장이 북한에 돈을 줬다는데 확인 결과 황해도에 설치하기로 했다는 농장은 전혀 건설되고 있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이후 언론에 김 전 회장의 '수십억 원 채무'와 관련해 "채무를 졌다는 '첩보'가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박 의원은 "국정원이 2022년 윤석열 전 대통령과 가까운 검찰 수사관을 감찰조사관으로 채용해 김 전 회장과 이재명 대통령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조사했고 아무런 관련성이 없었다"며 "이시원 전 공직기강비서관은 (관련성 없다는) 결론을 뒤집고 '수사에 박차를 가하라' 해 (검찰이) 수사를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디에도 이 대통령이 경기지사였을 당시 돈이 (북한에) 넘어간 정황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며 "2019년 동남아에서 활동하던 북한 정찰총국 책임자가 미국에 잡혀간 사건이 발생해 리호남이 필리핀에 올 수 없다는 점도 지적됐다"고 했다.

앞서 김 전 회장은 법원에서 "대남공작원 리호남을 필리핀에서 직접 만났다"고 증언한 바 있다.

다만 국정원은 '이시원 전 비서관', '대남공작원 리호남'에 대한 부분은 "국감에서 현안 보고한 내용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박 의원은 2022년 국정원이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관련 자료 삭제를 지시했다는 이유로 국정원장이었던 박지원 의원을 고발한 것과 관련해선 "실제로 어떠한 삭제 지시도 한 적이 없고, 소위 삭제했다는 보고서도 사이버 문서 창고에 있었다"고 설명했다.

박 의원은 "왜곡·과장된 고발장으로 없는 범죄를 있는 범죄로 바꿔 악용했다"며 "(국정원이) 특검에 관련 자료를 제출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김병기 민주당 원내대표 측의 아들 국정원 채용외압 의혹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앞서 김 원내대표의 부인이 2016년 국정원에 전화해 2014년 채용에 탈락한 아들의 채용을 압박했다는 의혹이 제기됐고, 당시 김 원내대표는 "자신을 증오한 세력의 작당으로 합격이 번복돼 탈락시켰다는 사실을 알게 돼 아내가 국정원 측에 항의했던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박 의원은 "2014년 (김 원내대표 아들에 대한) 부정적이고 주관적인 세평과 달리 2016년에는 매우 긍정적이고 객관적인 세평 자료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박 의원은 "국정원이 내란·외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임무이지만, 12·3 비상계엄에는 작동되지 않았다는 점을 인정했다"며 "안보조사 부서에서 군부대를 명확히 지정해 앞으로 혹시 있을 수 있는 내란을 차단하고 외환 관련 정보 수집도 정상화하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계엄 시) 합동수사본부가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국정원이 수사관이 아닌 연락관만 파견하는 쪽으로 해서 계엄 시 국정원 역할을 재정비하겠다고도 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국정원은 "안보조사 부서에서 군부대를 '세분화하겠다'고 국회에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최근 SK텔레콤 등 통신·금융 해킹에 대해 미국 보안 전문지 '프랙'(Phrack)은 북한 해킹그룹 '김수키'(Kimsuky)를 공격 주체로 지목했으나 국정원은 '중국 연휴 기간 중 미활동', '한국어를 중국어로 번역', '악성 코드가 과거 중국 국가 배후조직이 사용한 것과 유사한 점'을 토대로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배후를 추적 중이라고 정보위에 보고했다.

국정원은 "해외 정보기관과 공조해 자료 유출 경유지 4곳을 특정했고 중국과의 접촉까지 확인했다"고 박 의원이 전했다.

국정원은 "국무조정실, 통일부에 (해커가) 침투했고, 외교부 내 서버까지 들어왔다"며 "검찰청, 방첩사 등에도 침투한 여러 정황이 포착돼 차단했고, 현재까지는 피해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p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