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청 "성모는 '공동구세주' 아냐"…수백년 논란 종지부
"예수만이 세상 구원…성모는 신과 인류의 중재자"

교황, 이민자 영성체 막은 트럼프 정부에 '깊은 반성' 촉구

X
바티칸시국 성베드로 대성당 [촬영 = 전성훈 로마 특파원]

(기사발신지=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성모 마리아가 세상을 구원한 예수를 도왔는지를 두고 수백 년간 계속된 기독교 내부 논쟁이 교황청의 새 교령으로 마침표를 찍게 됐다.

4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교황청 신앙교리부는 14억명의 가톨릭 교인에 성모 마리아를 '공동 구세주'로 부르지 말아야 한다는 지침을 내렸다고 밝혔다.

예수가 세상을 '저주'로부터 구하는 데 성모 마리아가 도움을 주지는 않았고 예수만이 세상을 구원했다는 것이다.

교황청은 "성모 마리아는 예수를 낳음으로써 모든 인류가 기다렸던 구원의 문을 연 것"이라며 '공동 구세주'가 아닌 신과 인류의 중재자로서 성모 마리아의 역할을 부각했다.

이번 지침은 교황 레오 14세의 승인을 받은 새 교령에 따른 것이다.

가톨릭 교인들은 예수가 십자가에 못 박혀 인류를 구원했다고 믿는다. 이때 성모 마리아가 세상을 구한 예수를 도왔는지 여부는 수백 년간 계속된 논쟁거리였다.

역대 교황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기도 했다.

프란치스코 전 교황은 "성모 마리아는 그녀 자신을 위한 것이라면 아들로부터 아무것도 가져가려 하지 않았다"라며 '공동 구세주' 칭호를 강하게 반대했다. 보수적 성향이 강했던 베네딕토 전 교황도 마찬가지로 반대 입장을 취했다.

요한 바오로 2세 전 교황은 '공동 구세주' 칭호를 지지했다. 하지만 교황청 신앙교리부에서 회의적인 입장을 보이자 1990년대 중반 이후 공개 석상에서 '공동 구세주'라는 칭호를 사용하지 않았다.

한편 교황 레오 14세는 이날 로마 외곽의 거주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영성체를 금지당한 미국 정부 시설의 이민자와 관련해 트럼프 정부에 '깊은 반성'을 촉구했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보도했다.

영성체는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기리며 예수의 몸과 피로 여겨지는 빵·포도주를 나누는 의식이다. 미사에서 행해지는 영성체는 가톨릭 신자에게 축복이자 신성한 의무로 여겨진다.

교황은 미국 시카고 브로드뷰의 이민세관단속국(ICE) 시설 수감자를 언급하며 "그들의 영적 요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교황은 지난달 바티칸을 방문한 미국-멕시코 국경 지역의 주교·사회복지사들에게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정책에 대응을 촉구하는 등 미국 내 이민자 처우에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roc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