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8조원 잠수함 수주전에 영국도 가세…한국도 후보국
스타머 英총리, 스웨덴 '우군' 자처하며 로비…자국 방산업체 챙기기
X
스타머 영국 총리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신창용 기자 = 우리나라를 비롯해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독일, 스웨덴이 치열하게 경쟁 중인 8조원 규모의 폴란드 잠수함 수주전에 영국도 가세했다.
14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지난달 말 스웨덴 방산업체 사브가 폴란드에 제출한 최종 제안서에는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가 울프 크리스테르손 스웨덴 총리와 함께 서명한 공식 지지 서한이 동봉돼 있었다.
두 정상은 이 서한에서 사브의 잠수함이 발트해 특유의 환경에 최적화돼 있다고 강조하며 폴란드가 사브 잠수함을 도입하면 발트해 안보가 강화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스타머 총리가 스웨덴의 '우군'을 자처하며 로비에 나선 것은 '떡고물'을 챙기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사브가 수주에 성공할 경우 영국 방산업체 밥콕이 잠수함 건조와 관련해 일부 계약을 따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한 소식통은 "밥콕이 다른 영국 파트너들과 함께 스웨덴의 입찰에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 정부 대변인 역시 군함과 전투기 수출 계약이 자국 경제에 막대한 부를 창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는 국방을 성장의 동력으로 삼아 일자리를 창출하고 영국 경제를 활성화하는 동시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동맹국과 유럽 안보 약속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러시아의 위협이 현실화하면서 유럽 각국은 국방비 지출을 대폭 늘리고 있다. 이에 따라 막대한 방산 시장이 열리면서 유럽 각국의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폴란드는 차세대 잠수함 도입 사업인 '오르카 프로젝트'를 통해 3천t급 신형 잠수함 3척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약 3조4천억원 규모로 유지·보수·운영(MRO)까지 포함하면 최대 8조원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오르카 프로젝트 수주전에는 우리나라의 한화오션을 비롯해 독일 티센크루프마린시스템(TKMS), 이탈리아 핀칸티에리, 스웨덴 사브 등 여러 글로벌 기업이 뛰어들어 경쟁 중이다.
유럽산 무기를 우선 구매하자는 유럽연합(EU)의 '바이 유러피언' 정책 영향으로 유럽 기업이 앞서 있다는 평가도 있다.
폴란드 언론매체들은 독일, 이탈리아, 스웨덴이 선두 주자라고 보도했다. 세 나라 모두 폴란드와 같이 나토·EU 회원국이다.
폴란드 당국자들은 '오르카 프로젝트'의 최종 파트너가 몇 주 안에 결정될 수 있다고 전했다.
X
2017년 폴란드 잠수함 ORP 콘도르 퇴역식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changy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