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정부, '사도광산 별도 추도식' 2년 연속 개최(종합)
日 '강제노동 부정'에 대응…한국 유족 11명·주일대사 참석
(기사발신지=연합뉴스) 경수현 특파원 = 한국 정부가 21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 사도광산에서 강제노역한 조선인 희생자의 한국인 유족들을 위한 추모식을 현지에서 열었다.
X
일 '강제노동' 부정에 한국 정부 사도섬에서 또 별도 추도식 (사도[일본]=연합뉴스) 경수현 특파원 = 한국 정부가 21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 사도 광산에서 강제노역한 조선인 희생자의 한국인 유족들을 위한 추모식을 현지에서 열었다. 사진은 헌배하는 유족들의 모습. 2025.11.21 evan@yna.co.kr
일본 측이 지난해 사도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때 약속한 추모행사를 형식적으로만 열고 조선인들의 강제노동을 인정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는 데 따라 2년 연속 한국만의 별도 추도식을 연 것이다.
한국 정부는 이날 오전 사도섬의 호텔 행사 공간을 빌려 한국 유족 7가족 11명과 이혁 주일 한국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사도광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 추도식'을 개최했다.
추도식은 애국가 제창, 추도사, 헌배 등 순으로 진행됐다.
정부 대표로 참석한 이 대사는 추도사에서 "사도광산에서 일한 모든 노동자 분들의 고통과 아픔을 함께 기억하고자 모였다"며 "80여년 전 이곳 사도섬에는 조선총독부 관여하에 모집, 알선, 징용 등 방식으로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해야 했던 많은 한국인 노동자 분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X
일 '강제노동' 부정에 한국 정부 사도섬에서 또 별도 추도식 (사도[일본]=연합뉴스) 경수현 특파원 = 한국 정부가 21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 사도 광산에서 강제노역한 조선인 희생자의 한국인 유족들을 위한 추모식을 현지에서 열었다. 사진은 추도식후 기념촬영에 임한 유족들의 모습. 2025.11.21 evan@yna.co.kr
이어 당시 노동자들의 두려움, 고립감 등은 유가족 마음에도 아픔과 슬픔으로 남았다며 유가족을 상대로 위로와 애도의 뜻을 전했다.
이 대사는 "과거의 아픔을 되새기고 추모의 뜻을 나누는 것은 공감과 치유의 마음을 더욱 깊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족 대표로 추도사를 맡은 이칠규(65) 씨는 "아버님을 생각하면 참 마음이 아려온다"며 "이제 마음속 한을 훌훌 털어버리고 부디 영면하소서"라고 말했다.
일부 유가족은 젊은 시절 강제 노동에 시달렸을 할아버지나 아버지를 떠올리는 듯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
참석자들은 자동차로 20여분 떨어져 있는 사도광산 인근 조선인 기숙사 '제4상애료' 터로 자리를 이동해 헌화도 했다.
행사 후 이 대사는 취재진에 "오늘 추도식은 한일 간에 입장차를 부각시키려는 것이라기보다 아픈 기억을 되새기고 앞으로 한일이 밝은 미래를 향해 함께 손잡고 나가자는 그런 의미가 훨씬 강하다"며 "과거의 아픈 경험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양국이 함께 노력해 가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취지를 말했다.
그는 "내년에는 양국 정부 간 의견 차이가 좁혀져 더 좋은 추도식이 될 수가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X
일 '강제노동' 부정에 한국 정부 사도섬에서 또 별도 추도식 (사도[일본]=연합뉴스) 경수현 특파원 = 한국 정부가 21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 사도 광산에서 강제노역한 조선인 희생자의 한국인 유족들을 위한 추모식을 현지에서 열었다. 사진은 옛 조선인 기숙사 터로 이동해 헌화하는 모습. 2025.11.21 evan@yna.co.kr
앞서 한국 정부는 지난해와 올해 2년 연속 일본 측이 주관한 추도행사에 불참했다.
일본 측이 조선인의 강제노동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는 데 따른 것이다.
실제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가 지난 9월 13일 연 올해 '사도광산 추도식'에도 일본 정부 대표는 조선인 강제 노동성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일본 정부 대표로 참석한 오카노 유키코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은 추도사에서 "한반도에서 온 노동자들"로 강제노역한 조선인을 지칭하면서 "가혹한 환경에서 힘든 노동에 종사했다. 모든 사도광산 노동자의 노고를 생각하면서 돌아가신 모든 분에 대해 진심으로 애도의 뜻을 표한다"고 말했을 뿐이었다.
사도광산은 에도시대(1603∼1867)에 금광으로 유명했던 곳으로 태평양전쟁이 본격화한 후에는 전쟁 물자를 확보하는 광산으로 주로 이용됐다. 이때 식민지 조선인들이 강제 동원돼 혹독한 환경 속에서 차별받으며 일했다.
X
일본 '강제노동' 부정에 한국 정부 사도섬에서 또 별도 추도식 (사도[일본]=연합뉴스) 경수현 특파원 = 한국 정부가 21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 사도광산에서 강제노역한 조선인 희생자의 한국인 유족들을 위한 추모식을 현지에서 열었다. 이 혁 주일 한국대사가 추도사를 읽고 있다. 2025.11.21 evan@yna.co.kr
하지만 일본은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는 과정에서 대상 시기를 에도시대로 한정해 조선인 강제노역 역사를 외면하려 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에 한국 정부는 '전체 역사'를 반영할 것을 거듭 요구했고, 일본은 조선인 노동자 관련 전시물을 설치하고 추도식을 개최하기로 했다.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사도광산에서 노역한 조선인 수는 1천519명으로 알려졌다.
ev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