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함양 마천 덕전리 덕봉사지 마애여래입상은 조선 중기 이전까지 덕봉사(德峯寺)라는 큰 사찰이 있던 자리에 남아 있는 유물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비롯한 『천령지』, 『함양군읍지』 등 각종 인문지리서의 덕봉사 설명에는 한결같이 ‘천왕점에 있다(在 天王岾: 마천면 덕전리)’로 기록돼 있다. 이곳은 문화재청에서 ‘덕전리 사지(寺址)’로 명명하고 있다. 정확하게는 ' 덕전리 덕봉사 사지'가 맞을 것이다.

지리산 삼정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덕봉사지는 오늘날의 마천면 덕전리 매암마을에서 능선 하나를 넘은 골짜기에 위치한다. 이곳은 ‘절터골’로 불리는 작은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터골에는 과거 덕봉사의 금당이었던 자리에 우물터와 담장, 기와조각 등이 산재해 있다. 이 절터골에서 마애불상까지의 거리로 볼 때, 덕봉사는 매우 컸던 사찰로 추정된다. 또 이 지역의 행정구역명 '덕전리(德田里)'는 바로 이곳 '덕봉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웃 '군자리'라는 지명이 현 군자리 군자마을에 있었던 '군자사'에세 유래한 것이 하나의 근거이다.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은 절터골을 감싸고 있는 능선의 끝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덕봉사가 어떤 이유로 소실되었지는 전하는 바가 없다. 다만 조선 중기 이후 폐허가 되어 마애불상 1구만이 능선 끝자락에 외롭게 서서 지키고 있을 뿐이었다. 이 덕봉사 마애불상은 오랜동안 전설로만 남아 있었다. 다만 곳곳에그 흔적들이 인근 사람들의 기억으로 전해질 뿐이었다.

절터골에서 마천초등학교로 내리 뻗은 능선은 ‘덕봉’으로 불렸다. 마애불상은 그저 ‘부처바우’로, 그리고 부처바우가 있는 골짜기는 자연스럽게 ‘부처바우골’로 불렸다. 바람과 적막만이 감싸고 있던 '덕봉' '부처바우'는 그 영험이 원근에 알려져 가끔씩 찾아아 간절히 기도하는 중생들의 소원을 하나씩 들어주고 있었다. 이 부처바우에는 존명 여부를 떠나 고려 중기 이후 민간으로 깊이 스며든 미륵신앙적 요소가 남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가 비록 작지만 아담한 사찰로 거듭 난 것은 1960년대였다. 덕전리 내마 마을(뒤에 군자리 외마 운학정 마을로 이사)에 살았던 독실한 불자 노태석 거사·이점분 보살 부부가 군자리 대왕암 주지 혜담스님을 도와 원찰로서 중창하였던 것. 이후 혜담스님은 경남 사천 다솔사 봉을암 주지로 자리를 옮겼고, 뒤를 이어 성욱스님(현 구룡사 회주)이 주지로 있었다.

폐허가 된 덕봉사를 중창한 불자 노태석 거사(왼쪽)·이점분 보살(오른쪽) 부부 묘소..."그들의 소망대로 부처바우 옆에 묻혀 사라져 가고 있다. "

다시 모습을 갖춘 덕봉사지와 마애불상에는 불자 노태석 거사·이점분 보살 부부의 공덕을 빼놓을 수 없다. 사후에도 부처바우 옆에 묻히길 소원했던 노 거사와 이 보살 부부는 바로 이곳 덕봉사에서 임종하여, 그들의 소원대로 부처바우 옆에 묻혀 사라져 가고 있다. 현재 덕봉사는 다시 변신하여 고담사라는 절이름으로 바뀌었다.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

덕봉사지 마애불상(보물 375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