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해 한용운 _사진: 한국독립운동정보시스템(독립기념관)


만해 용운(1879~1944) 스님의 시집 『님의 침묵』 탈고 100주년을 기념하는 학술대회가 열린다.

한국불교사연구소(소장 고영섭)는 만해아카이브연구소(대표 이창경)와 공동으로 ‘오서요 당신은 오실 때가 되얏서요 어서오서요’를 주제로 오는 8월 22일 오후 1시 동국대학교 법학만해관 멀티미디어강의실(163호)에서 기념 학술대회 겸 집중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님의 침묵』은 국권 상실기라는 시대적 고통 속에서 만해가 나라와 민족을 향한 뜨거운 사랑과 불교적 사유를 시로 녹여낸 작품으로, 그 상징성과 문학적 위상이 오늘날까지도 꾸준히 조명되고 있다.

초판본 님의 침묵 표지


이번 학술대회는 만해의 정신과 ‘님’의 상징, 시집 전편에 대한 해설, 정본화 작업의 성과, 향후 100년의 전망 등을 다양한 시각에서 분석하는 장으로 기획됐다. 주요 발표는 다음과 같다.

·서윤길(동국대 명예교수)의 기조발제 「만해 정신에서 『님의 침묵』의 불교적 위상」을 시작으로,
·정효구(충북대)·고영섭(동국대)의 「‘님’의 탄생과 법어들」,
·박현수(경북대)·이선이(경희대)의 「전편 해설의 관점과 차이점」,
·백원근(책과사회연구소)·고운기(한양대)의 「독자 확산 양상 연구」,
·홍승진(서울대)·김춘식(동국대)의 「정본화의 진전과 평가」,
·정치훈(서울사이버대)·조형래(동국대)의 「새로운 100년의 전망과 비전」이 이어지며,
·종합토론은 방민호(서울대 국문과 교수)가 맡는다.

한국불교사연구소는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만해의 정신과 『님의 침묵』에 담긴 상징적 의미를 다시 성찰하고, 그동안 소홀했던 해석의 지점들을 되짚어보며, 향후 활자와 영상, 문학과 학문이 만나는 통섭적 대화로 나아갈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또 “‘님’은 여전히 해석이 완결되지 않은 화두이며, 이를 통해 한국학과 국학의 깊이와 외연을 동시에 확장하려 한다”며 “이번 대회를 통해 보다 입체적이고 객관화된 만해 연구의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