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 데드라인 지나자…국힘, 밤새 후보교체 절차 속전속결 진행
선관위 대선 후보 등록 앞두고 金-韓 2차례 실무협상 했으나 결렬

단일화 무산되자 비대위·선관위 '후보 재선출' 잇단 의결

X
단일화 협상 참석하는 이양수 사무총장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국민의힘 이양수 사무총장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재개된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 후보 간의 단일화 협상에 참석하고 있다.

왼쪽부터 유상범 단일화추진본부 위원장, 이양수 사무총장, 신동욱 수석대변인. 2025.5.9 utzza@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김치연 김정진 기자 = 국민의힘이 대선 후보 교체 절차에 돌입한 10일 0시 전후로 상황은 숨 가쁘게 돌아갔다.

당 지도부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선 후보 등록을 코앞에 둔 상황에서 전날 오후 8시께 의원총회를 소집했다.

동시에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예비후보 캠프 실무자 간 단일화 협상도 국회에서 오후 8시 30분부터 시작됐다.

첫 협상은 양측이 단일화 여론조사의 '역선택 방지 조항'에 대한 이견으로 시작한 지 23분 만에 중단됐다.

김 후보 측은 국민여론조사 100%와 역선택 방지조항 배제를 요구했으나, 한 후보 측은 국민의힘 경선 룰인 '당원 50%·국민여론조사 50%'와 역선택 방지 조항 도입을 요구하면서다.

당 지도부는 이날 0시를 양측의 단일화 협상 데드라인으로 지정해두고, 의원총회를 열어둔 채 협상 진행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1차 협상이 결렬된 뒤 의총에서는 '대선 후보 재선출 결정 권한을 비상대책위원회에 위임'하는 안건이 찬반 표결에 부쳐져 참석한 64명 의원 중 찬성 60명, 반대 2명, 기권 2명으로 통과됐다.

양측의 협상이 불발될 경우 지도부가 곧바로 교체 절차에 돌입할 수 있도록 의원들이 비대위에 후보 재선출과 관련된 모든 권한을 위임하기로 총의를 모은 것이다.

1차 협상이 종료된 지 1시간 30여분 후인 오후 10시 30분 양측은 다시 테이블 앞에 마주 앉았지만 1차 협상 때와 마찬가지로 역선택 방지 조항에 대한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약 40분 만에 2차 실무협상도 결국 빈손으로 마무리됐다.

X
김문수·한덕수 후보 단일화 협상 결렬 (서울=연합뉴스) 김주성 기자 =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측의 김재원 비서실장(왼쪽)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재개된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 후보 간의 단일화 협상이 결렬된 후 나와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은 협상에 참석한 무소속 한덕수 대선 예비 후보측의 손영택 전 국무총리 비서실장. 2025.5.9 utzza@yna.co.kr

당 지도부는 애초 협상 데드라인으로 잡았던 이날 0시가 되자 즉시 비대위 회의와 선거관리위원회 회의를 동시에 열어 후보 재선출 절차에 돌입했다.

후보 재선출의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비대위와 선관위는 대통령 선출 절차 심의 요구, 김 후보 선출 취소, 한 후보 입당 및 후보 등록 등 안건을 새벽 사이 잇따라 의결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밤새 김 후보의 후보 자격을 취소하고 새 후보자가 등록하는 절차까지 다 해야 한다"며 "한 후보가 입당 원서를 제출하면 비대위 의결이 필요하고, 그다음에 새로운 대통령 후보 선출 절차가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이들 안건에 대한 의결 절차가 완료되면 이날 중 전 당원을 대상으로 한 찬반 투표가 진행되고, 11일 전국위원회에서 최종 후보가 지명된다.

이날 전 당원 대상 투표가 시작되기 직전까지 모든 절차가 완료돼야 하는 만큼, 모든 의결 절차는 이날 새벽 5시 전후로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이양수 선관위원장은 이날 당 홈페이지를 통해 당헌 74조 2항 및 대통령 후보자 선출 규정 제29조에 따라 김 후보의 선출을 취소한다고 공지했다.

이 선관위원장은 곧이어 대통령 후보자 등록 신청 공고를 통해 이날 오전 3시부터 4시까지 1시간 동안 후보 신청 등록을 받는다고 공고했다.

당 지도부가 단일화 협상 불발에 대비해 사전 준비를 해왔던 탓에 협상 최종 결렬이 확실시되자마자 속전속결로 후보 재선출 작업이 진행되는 것이다.

이를 두고 절차적 정당성 문제를 지적하는 당내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조경태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대국민 사기극이며 쿠데타"라며 "단 한 번의 TV 토론이나 후보 검증 절차 없이 특정 후보를 비대위에서 선출하는 방식을 택한다면 이는 심각한 당의 분열과 당의 존립을 흔드는 초유의 사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장동혁 의원은 페이스북에서 "강제로 후보를 교체하는 것에 전혀 동의할 수 없다"며 "김 후보를 한 후보로 가기 위한 페이스메이커 취급을 해선 안 된다"고 비판했다.

chic@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