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한글문화도시 위상 강화와 문화관광 자원 활용 박차
세종특별자치시가 내달부터 본격화되는 한글 관련 행사와 국가지정문화유산 지정을 계기로 도시 위상 강화에 나선다. 최민호 시장은 26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방문객들이 세종의 독특한 매력을 체감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글 행사 통한 도시 이미지 제고
세종시는 내달 1일부터 10월 12일까지 조치원1927아트센터 등에서 ‘2025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를 개최하고, 10월 9일 세종호수공원에서는 ‘2025 세종한글축제’를 연다. 최 시장은 숙박, 먹거리, 굿즈 등 방문객 편의를 위한 세심한 준비와 함께 환경·가로 정비 관리에도 만전을 기해 한글도시·정원도시로서 품격을 보여야 한다고 지시했다.
교통·편의 대책 병행
축제 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교통 불편 해소에도 힘을 쏟는다. 최 시장은 부족한 주차 공간 보완과 함께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이응패스·여민전 통합카드 사용 혜택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세종시, 한글문화도시 위상 강화와 문화관광 자원 활용 박차
내년도 정부 예산 확보 총력
최 시장은 또한 2026년도 정부 예산안 확정을 앞두고 “우리 시의 주요 사업 예산이 반영되고 있으나 끝까지 방심하지 말고 국회 심의 과정까지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솔동 고분군, 국가지정문화유산 지정
세종시 최초 국가지정문화유산 지정이 예정된 한솔동 고분군은 오는 9월 8일 국가사적으로 고시된다. 백제가 475년 전후 축조한 무덤 14기로, 백제 무덤 양식의 중요한 사적으로 평가된다.
최 시장은 “한솔동 고분군은 학술적 가치와 함께 문화관광 자원으로서 잠재력이 크다”며 “공주·부여, 일본 나라현 등과 협업해 학술대회 공동 개최와 관광객 유치에 나서고, 고분 체험 프로그램이나 테마파크 개발 등 활용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