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는 2026년도 정부예산안에 1조 7,279억 원이 반영됐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올해 대비 1,478억 원(9.4%) 증액된 규모로, 정부 총지출 증가율(8.1%)을 상회한다.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집무실 등 행정수도 완성을 위한 핵심 사업과 한글문화도시 조성 사업이 대폭 포함되면서 시정 4기 역점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행정수도 완성 핵심사업 대폭 증액

내년도 예산안에는 국회 세종의사당 956억 원, 대통령 세종집무실 240억 원 등 대규모 사업비가 반영됐다. 이로써 지금까지 국회 세종의사당 총 국비는 2,153억 원, 대통령 세종집무실은 298억 원에 달한다. 또한 제천횡단 지하차도 건설 사전타당성 조사비 3억 원이 반영돼 교통혼잡 해소 기반도 마련됐다. 이 밖에 국립민속박물관(154억 원), 세계유산 국제해석센터(23억 원), 국립박물관 단지(492억 원) 등 문화 인프라 예산도 확보됐다.

한글문화도시 조성 본격화

세종시는 한글문화도시 도약을 위한 정책연구비 3억 원과 한글문화 교육센터 운영비 5억 원을 확보했다. 한글문화도시 조성 계속사업비 40억 원도 반영되면서 안정적인 추진 여건을 마련했다. 정부의 K-컬처 글로벌 브랜드화 정책과 맞물려 세종시가 한글문화의 거점 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민 안전과 미래산업 기반 강화

시민 생활과 직결된 안전·편의 사업도 다수 포함됐다. 친환경종합타운 설계비 3억 원, 운전면허시험장 설계비 9억 원, 하수관로 신설 설계비 6억 원이 반영돼 시민 불편 해소와 생활환경 개선이 전망된다. 미래 신산업 육성을 위한 자율주행버스 레벨4 고도화(15억 원), 스마트빌리지 개발·보급(18억 원), 지역거점 정보보호 클러스터 구축(20억 원) 등도 신규 반영됐다.

국회 심의 대응 및 향후 계획

세종시는 이번에 반영된 사업이 국회 심의 과정에서 감액되지 않도록 정치권과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다. 아울러 세종지방법원·검찰청 설치 등 사전절차 이행이 필요한 사업도 신속히 지원하고, 새로운 사업 발굴에도 주력할 방침이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이번 예산 반영은 시민과 정치권, 공직자들의 노력이 합쳐진 결과”라며 “국회 심의 단계까지 최선을 다해 대응하고, 미래전략수도 세종 건설을 위해 예산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