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쿠폰 효과' 취업자 31만2천명↑…청년·건설업은 부진 계속(종합)
취업자 19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도소매 약 8년 만에 가장 많이 늘어

청년층 고용률 17개월 연속 하락…제조업 취업자 수 15개월째 감소

X
22일부터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개시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정부가 22일부터 전 국민의 약 90%를 대상으로 1인당 10만원씩 지급하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을 받는다. 다만 시스템 과부하를 막기 위해 개시 첫 주(22∼26일)에는 출생 연도 끝자리를 기준으로 한 요일제가 운영된다.

신청이 시작된 이날 서울 시내 한 시장에 소비쿠폰 관련 현수막이 붙어 있다. 2025.9.22 ksm7976@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민경락 송정은 기자 = 9월 취업자 수가 30만명 이상 늘며 19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증가세를 기록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도소매·숙박음식점업 등 서비스업 고용 호조세를 견인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제조업·건설업 등 양질의 일자리 감소와 청년층 고용률 하락 등 부문별 부진은 계속됐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17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취업자 수는 2천915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31만2천명 증가했다.

작년 2월 32만9천명 늘어난 뒤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올해 들어 5월(24만5천명)을 제외하고 매달 10만명대를 맴돌았다.

서비스업 중심으로 고용 개선세가 뚜렷했다. 지난 7월 집행이 시작된 민생 회복 소비쿠폰이 일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정부 분석이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2만8천명 늘며 2017년 11월(4만6천명) 이후 7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도 2만6천명 늘었다. 올해 3월(5만6천명) 이후 최대 폭 증가다.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취업자 수도 7만5천명 늘면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사업시설서비스업도 1만9천명 늘며 22개월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반면 미국 관세정책과 건설업 불황 등에 따른 제조업·건설업 고용 부진은 계속됐다. 제조업은 6만1천명 줄며 15개월 연속 내리막을 기록했다. 건설업도 8만4천명 감소했다.

농림어업은 14만6천명 감소하면서 2015년 11월(-17만2천명) 이후 약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농림어가의 구조적인 감소세에 더해 최근 좋지 않았던 날씨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X

연령별로는 30대(13만3천명)와 60세 이상(38만1천명)에서 취업자가 증가했다. 30대는 2000년 7월 14만1천명 늘어난 뒤로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다른 연령대에서 모두 취업자가 줄었다. 특히 청년층(15∼29세)은 14만6천명 줄며 감소 폭이 가장 컸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3만명 늘며 12개월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반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8만5천명 줄며 작년 7월(-11만명)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일용 근로자는 2천명 증가하면서 최근 2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했다. 상용·임시 근로자는 각각 34만명, 4만4천명 늘었다.

공미숙 국가데이터처 사회통계국장은 "사업시설·도소매업·숙박음식점업 등의 취업자가 증가로 전환하면서 취업자 수가 30만명 이상 늘었다"라며 "소비·문화쿠폰 발행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소비쿠폰 효과가 한시적일 수 있다는 우려에는 "앞으로 지켜봐야할 부분"이라고 답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7%를 기록했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 작성이래 9월 기준으로 가장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70.4%였다.

청년층 고용률은 45.1%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p) 낮아졌다. 17개월째 하락세다.

실업자는 30∼50대 중심으로 1만2천명 늘며 63만5천명을 기록했다.

실업률은 2.1%로 작년과 같았다. 청년층 실업률은 4.8%로 0.3%p 하락했다.

9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00만9천명으로 11만6천명 감소했다. 작년 4월(-17만 4천명)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쉬었음 인구는 252만1천명으로 4만2천명 늘었다. 쉬었음 청년은 3만4천명 줄었지만 40만9천명을 기록하며 40만명대를 웃돌았다.

roc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