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정상회담] 보수파 다카이치와도 "교류협력" 공감대…셔틀외교도 지속 예고
첫 대면서 "폭넓은 관계 희망"…'도쿄 아닌 지방도시' 다음 만남도 기약
이시바 이어 한일 우호관계 지속 발판 마련…과거사 문제 등 변수 여전
X
경주에서 만난 한일 정상 (경주=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이재명 대통령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30일 경북 경주 APEC 정상회의장에서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2025.10.30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superdoo82@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임형섭 이상현 황윤기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와의 첫 정상회담을 통해 새 일본 내각과도 우호적인 관계를 이어갈 발판을 마련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와의 회담에서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폭넓은 교류를 이어가자는데 공감대를 이뤘다고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밝혔다.
다카이치 총리가 "안보·경제·사회 분야에서 폭넓은 관계를 갖길 희망한다"고 말하자 이 대통령도 "민주주의의 가치와 질서를 공유하는 만큼 경제·사회·안보·민간교류를 통한 관계가 이뤄지길 바란다"고 화답했다고 한다.
아울러 양 정상은 이 대통령의 제안으로 도쿄가 아닌 지방 도시에서 다음 만남을 기약하며 셔틀 외교 역시 지속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일본과의 우호관계 정립에 공을 들여왔다.
취임 후 불과 4개월 사이에 이시바 시게루 전 총리와 세 차례 만났고, 형식상으로도 '방문과 답방'을 주고받으며 셔틀 외교를 조기에 안착시키는 데 성공했다.
X
한일 정상회담, 발언하는 다카이치 총리 (경주=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30일 경북 경주 APEC 정상회의장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의 한일 정상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0.30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superdoo82@yna.co.kr
그 배경에는 한미동맹과 한미일 협력이 '국익중심 실용외교'의 중심축이라는 인식이 깔려 있다.
동시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시대 미국이 달라진 동맹관을 드러내고 국제질서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정치·경제·문화적으로 공통점이 큰 나라와 다방면의 연대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도 반영돼 있다.
이 대통령은 이런 전략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론으로는 과거사 문제와 미래지향적 협력을 구분해 다루는 '투트랙 접근법'을 구사했다.
강경 보수 성향으로 알려진 다카이치 총리가 취임하면서 이런 실용주의 전략·전술도 시험대에 올랐다는 평가가 제기됐다.
다만 취임을 앞두고 다카이치 총리는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자제하는 등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이어 이날 정상회담을 통해 이 대통령과 '긍정적인 주파수'를 맞추며 앞서 조성한 우호적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평가가 나온다.
X
한일 정상회담, 발언하는 이재명 대통령 (경주=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경북 경주 APEC 정상회의장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10.30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superdoo82@yna.co.kr
물론 이제 양 정상이 처음 대면한 만큼 향후 한일관계를 마냥 낙관하기에는 이르다는 지적도 없진 않다.
앞서 이시바 전 총리와의 세 차례 회담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번 회담에서도 과거사와 같은 민감한 문제는 본격적으로 다뤄지지 않았다.
다만 이 대통령이 "한일이 앞마당을 공유하는 가까운 사이이다 보니 가족처럼 정서적으로 상처를 입기도 하는 것 같다"고 하자 다카이치 총리도 공감을 표했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의식해 강경 행보를 자제해 온 다카이치 총리가 자국 내 정치적인 이유로 지지 기반인 보수층에 소구하는 언행에 나설 가능성도 열려 있다.
따라서 이 대통령으로서는 다카이치 총리와 약속한 셔틀 외교를 이어가고 잦은 교류·협력을 통해 과거사 문제까지 해결하는 선순환의 실마리를 찾는 것이 앞으로 숙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sncwook@yna.co.kr
https://www.youtube.com/embed/0FwRa-gbw1w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