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로] 칼럼니스트는 무엇으로 사는가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이승우 선임기자 = '칼럼니스트'(columnist)는 일간지, 주간지 등 정기 간행물에 칼럼을 상시 기고하는 사람이다. 칼럼이란 일반 기사와 달리 필자의 주관적 견해와 통찰을 담는다. 따라서 언론사 내부에서는 칼럼니스트 역할을 정치, 경제, 문화, 사회 등 여러 분야에서 오랜 경험과 인사이트를 쌓은 시니어 기자에 맡긴다. 외부 전문가들의 칼럼 기고를 받을 때도 있다. 칼럼에는 사설과 같은 시론(時論)도 있지만 수필처럼 주제와 형식이 자유로운 글도 포함된다.
우리 언론계에서 칼럼니스트란 용어를 누가 가장 먼저 썼을까. 이를 처음 업으로 삼은 사람은 누구였을까. 공식 기록은 없지만 언론계에선 수탑 심연섭(須塔 沈演燮. 1923~1977)을 제1호 프로 칼럼니스트로 꼽는다. 물론 수탑 이전에도 칼럼 쓰는 이들이 있었으나 칼럼니스트 직함을 달고 전문적으로 활동한 사람은 그가 처음이라는 데 별 이견이 없다. 수탑은 1980년 언론 통폐합으로 탄생한 연합통신(연합뉴스로 개명)의 양대 전신 격인 동양통신과 합동통신에서 기자 생활을 했다. 최종 직함은 동양통신 이사다. 그러니까 필자의 회사 선배이자 칼럼니스트 선배인 셈이다.
X
수탑 심연섭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DB 금지]
언론계 원로들에 따르면 수탑이 칼럼니스트란 직함을 이름 뒤에 붙여 쓴 건 대단한 고심의 결과물은 아니라고 한다. 동양통신 조사부장으로 일하던 1960년대에 다른 신문사에 칼럼을 기고하게 됐는데, 타사 지면에 자기 회사명과 직명을 쓰는 건 적절치 않다고 여겨 칼럼니스트란 직함을 적었다는 후문이다. 그는 유려한 글솜씨와 날카로운 감각으로 필명을 날렸다. 여러 주요 일간지와 주간지 등에서 수탑의 칼럼을 고정 연재할 정도였다.
사실 원조 칼럼니스트가 뉴스통신사 기자란 건 이례적이다. 연합뉴스, AP, 교도통신 같은 통신사는 논평 기능 대신 사실 위주의 스트레이트 뉴스 공급에 주력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당시 통신사는 지금처럼 뉴스를 독자들에 직접 전한 게 아니라 방송·신문사에 공급하는 도매상 역할을 했기에 그의 이력은 더 돋보인다. 당시 통신사 기자들은 '이름 없는 기자'로 불렸고, 그들의 기사가 신문에 실려도 '바이라인'은 해당 신문 기자 이름으로 바뀌거나 '聯合'(연합)이란 두 글자만 남았다. 고유색이 중요한 신문사는 오피니언 지면을 두고 사설과 기고문을 싣는 걸 중시하므로 자체 칼럼니스트 양성에 무게를 둔다. 그런데도 통신사 기자의 칼럼을 정기적으로 고정란까지 두고 바이라인을 달아 실어준 건 당시 그의 위상을 대변한다.
수탑은 언론계 초년병 시절부터 유머가 넘치고 글을 재미있게 쓰기로 유명했다고 한다. 그의 칼럼은 심각한 시사 논평보다 문화적 단상과 생활 속 소재를 세련된 문체로 풀어내는 문필가 풍모가 묻어났다. 동서양을 넘나드는 해박한 지식에다 유머와 해학까지 가미한 '낭만 치사량'의 칼럼은 많은 독자를 확보했다. 이런 그의 스타일은 우리 저널리즘에서 칼럼의 품격과 위상을 한 차원 높였다고 평가받는다. 그는 연재물을 모아 칼럼집과 수필집도 펴냈다. 풍류와 멋을 즐겼고, 무엇보다 술을 사랑해 언론계의 '주선'(酒仙)으로 불렸다.
칼럼니스트로 이름을 날렸지만 취재 현장에서도 속칭 '잘 나가는 기자'였다. 6·25 한국전쟁 기간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방한했을 땐 한국 기자 중 유일하게 수행취재단에 포함됐고, 박정희 전 대통령이 재임 시절 미국을 방문했을 땐 수행단에 유일한 언론인으로 참여했다. 유엔총회 한국 대표를 두 차례나 지내기도 했다. 이 정도로 저명한 언론인이었다면 명예뿐 아니라 부와 권력도 쌓았을 것 같다. 당대 비슷한 또래와 경력의 언론인들은 장관도 하고 국회의원도 하고 공기업 사장도 되는 일이 드물지 않았다. 박정희 정부에서도 그에게 요직을 제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수탑은 글쓰기와 풍류 외에는 별 관심이 없었나 보다. 술을 좋아해서 그랬는지 50대 중반에 암으로 작고한 그가 남긴 건 초라한 전셋집 하나였다. 칼럼 쓰는 걸 업으로 삼았던 칼럼니스트답다. 천생 글쟁이 아닌가. 글만 좋아하는 선비의 가족은 평생 고생길이 열렸다고 하던데. 일개 언론사 임원일 뿐이던 그의 타계 소식은 주요 외신들이 보도했고 대통령과 삼부 요인이 조의를 표했다. 한국일보 전성기를 이끌던 '신문 거인' 장기영이 조사(弔詞)를 바쳤는데, "술이부작(述而不作)은 당신의 성품이었소"라고 한 대목은 고인에 대한 존경심이 담겼다.
술이부작은 논어에 나오는 말로 '그대로 기술하되 지어내지 않는다'는 뜻이다. 칼럼니스트이자 기자로서 수탑이 얼마나 치열하게 객관적으로 글을 썼는지 칭송한 것이다. 실제로 생전 그는 사실 보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한다. 이렇게 그의 생애를 되돌아보니 앞으로 써야 할 글의 무게가 더 육중하게 다가온다. 매일매일 새로운 정보가 쏟아져 나오고, 알아야 할 건 왜 이리 많으며, 논란과 갈등은 도무지 끊이질 않으니 머리가 복잡하다. 그의 후배들인 우리는 이런 문제들을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다루고 있는가. 술이부작이라도 제대로 하는 건가. 안 그래도 어지러운 세상을 헛된 글로 더 어지럽히고 있는 건 아닌지 두렵다.
lesli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