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청


대전시는 내년도 정부예산안에 총 4조 7,903억 원이 반영됐다고 1일 밝혔다. 이는 당초 목표액인 4조 6,116억 원을 초과 달성한 것으로, 올해보다 3,389억 원(7.6%) 증가한 규모다. 시는 이장우 시장을 비롯한 간부진이 중앙부처와 국회를 수차례 방문하며 대응한 결과, 교통 인프라, 미래 신산업, 생활복지 전반에서 두루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성과는 교통망 확충이다. 도시철도 2호선 트램(총사업비 1조 5,056억 원) 공사비로 1,800억 원이,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총사업비 3,577억 원)에는 547억 원이 각각 반영됐다. 경부고속도로 회덕IC 연결도로(93억 원), 대덕특구 동측 진입로(132억 원), 사정교~한밭대교 도로 개설(35억 원) 등도 포함돼 교통난 해소가 기대된다.

신규로 반영된 스마트농업 첨단산업밸리 타당성 용역(2억 원)은 로봇·AI·나노를 융합한 혁신 농업단지 조성을 목표로 하며, 우주기술혁신 인재양성(30억 원), 혁신연구센터 지원(50억 원), 국산 AI반도체 기반 데이터센터 확산(42억 원) 등 첨단산업 분야도 다수 포함됐다.

시민 생활과 복지 분야도 확대됐다. 전기자동차 보급사업 409억 원, 산림재난안전교육훈련센터 설계비 9억 원, 완충저류시설 126억 원, 대청호 장미공원 30억 원이 반영됐다. 문화·관광 분야에서는 특수영상 콘텐츠 클러스터(78억 원), 온천문화공원(28억 원), 통합문화이용권(81억 원)이 지원된다. 안전·복지에서는 국민안전체험관(34억 원), 정림 재해위험개선(80억 원), 추모공원 제3자연장지(17억 원), 기초연금 5,772억 원, 생계급여 3,131억 원 등이 반영돼 생활 안정에 기여할 전망이다.

대전시는 9월 2일 정부 예산안이 국회에 제출되면 11월부터 국회캠프를 운영하며 미반영·증액이 필요한 사업을 끝까지 챙길 방침이다.

한치흠 대전시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정부예산안은 교통망 확충, 신성장산업 육성, 안전과 복지 강화 등 시민 체감도가 높은 사업들이 다수 반영됐다”며 “국회 심의 과정에서도 추가 국비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