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통일교 청탁' 한학자 총재 조사 다음날 전격 구속영장(종합)
"증거인멸 우려" 바로 신병확보 시도…정치자금법 위반·횡령 등 혐의

통일교 "국제 종교 지도자 부당한 탄압"…내주 초 법원 영장심사 전망

X
취재진 질문에 답하는 한학자 통일교 총재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한학자 통일교 총재가 17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에 마련된 김건희 여사의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 사무실에 세 번의 소환 불응 만에 자진 출석하고 있다.

한 총재는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 윤모씨(구속기소)와 공모해 2022년 1월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에게 윤석열 정부의 통일교 지원을 요청하며 정치자금 1억원을 전달한 혐의를 받는다.

같은 해 4∼7월에는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통해 김건희 여사에게 고가 목걸이와 샤넬백을 건네며 교단 현안을 청탁한 데 관여한 혐의도 있다. 2025.9.17 hwayoung7@yna.co.kr

(기사발신지=연합뉴스) 이영섭 고가혜 기자 =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들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18일 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로 한학자 통일교 총재와 통일교 전 비서실장 정모씨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한 총재의 경우 전날 9시간 반 가량 소환조사한 뒤 하루 만에 이뤄진 전격적인 신병 확보 시도다.

박상진 특검보는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오늘 오전 통일교 한학자 총재 및 정모 전 총재 비서실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영장에 적시된 혐의명은 정치자금법 위반, 청탁금지법 위반, 증거인멸교사, 업무상 횡령 등 크게 네 가지다.

한 총재는 전날 조사에서 대체로 혐의를 부인했다고 한다. 특검팀 관계자는 "저간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증거인멸 우려가 상당히 크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한 총재가 특검의 거듭된 출석요구에 불응하다 공범인 국민의힘 권성동 의원이 구속된 후에야 자진 출석하는 등 수사에 협조할 의지가 없다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 총재가 구속 기로에 놓인 것은 2012년 9월 총재직에 오른 이래 처음 있는 일이다.

한 총재는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 윤모 씨와 공모해 2022년 1월 권성동 의원에게 윤석열 정부의 통일교 지원을 요청하며 정치자금 1억원을 전달한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를 받는다. 앞서 권 의원은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지난 16일 구속됐다.

한 총재는 2022년 4∼7월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통해 김건희 여사에게 고가 목걸이와 샤넬백을 건네며 교단 현안을 청탁한 데 관여한 혐의(청탁금지법 위반)도 있다.

김 여사에게 건넬 목걸이와 가방 등을 교단 자금으로 구매한 혐의(업무상 횡령), 2022년 10월 자신의 원정 도박 의혹에 관한 경찰 수사에 대비해 윤씨에게 증거 인멸을 지시한 혐의(증거인멸교사)도 받는다.

한 총재는 2023년 3월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앞두고 권 의원을 당 대표로 밀기 위해 통일교인들을 대거 입당시키라고 윤씨에게 지시했다는 의혹도 받지만, 구속영장에 관련 혐의는 적시되지 않았다.

2022년 2∼3월 자신을 찾아온 권 의원에게 금품이 든 쇼핑백을 건넸다는 의혹 관련 혐의도 구속영장에선 빠졌다. 한 총재는 전날 조사에서 권 의원에게 쇼핑백을 건넨 사실은 있으나 금품을 주지는 않았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국민의힘으로부터 통일교인들의 입당 관련 자료 등을 받아보고 권 의원을 재소환하는 등 추가수사를 거쳐 정당법 위반 등 혐의도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X
통일교 총재 비서실장 특검 소환 (서울=연합뉴스) 이진욱 기자 = 한학자 통일교 총재 비서실장인 정모 씨가 8일 조사를 받기 위해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있는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로 출석하고 있다.

정씨는 통일교 측이 2022년 4∼8월께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통해 김건희 여사에게 다이아몬드 목걸이와 샤넬 백 등을 건네며 교단 현안을 청탁한 혐의를 받는다. 2025.8.8 [공동취재] cityboy@yna.co.kr

먼저 재판에 넘겨진 윤씨의 공소장에는 통일교 측이 한 총재의 뜻에 따라 국가가 운영돼야 한다는 '정교일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윤 전 대통령 부부에게 접근해 각종 현안을 청탁했다는 내용이 담겼다.

윤씨의 청탁과 금품 전달 행위 뒤에 한 총재의 승인이 있었다는 내용도 적시됐다.

반면 통일교 측은 청탁과 금품 제공 행위가 윤씨 개인의 일탈일 뿐 교단 차원의 개입은 없었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특검팀은 한 총재에게 지난 8일, 11일, 15일 출석을 요구했으나 그는 심장 관련 시술 등을 이유로 모두 불출석하며 17일 또는 18일 자진 출석하겠다고 전했다.

이후 특검팀이 체포영장 청구 가능성을 시사하자 전날 임의 출석해 9시간반가량 조사받았다.

통일교는 이날 입장문을 내고 "한 총재는 책임 있는 태도로 모든 절차에 임하고 있는데 이를 외면한 강제 조치는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며 "국제적 종교 지도자에 대한 부당한 탄압"이라고 규탄했다.

이날 한 총재와 함께 구속영장이 청구된 정씨는 통일교 최상위 행정조직인 천무원 부원장이자 한학자 통일교 총재의 비서실장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정씨는 한 총재의 대부분 혐의에서 공범으로 적시된 것으로 파악됐다. 그는 지난달 8일과 20일 각각 특검 사무실에 출석해 조사받았다.

두 사람은 미체포 피의자여서 서울중앙지법의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은 다음 주 초반에 열릴 전망이다.

gahye_k@yna.co.kr

https://www.youtube.com/embed/-J1H5fvqxgE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