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GA 박상현, 신기의 퍼팅 앞세워 2년 만에 우승
동아회원권그룹 오픈 제패…통산 상금 60억원 돌파에 파란불

X
박상현의 티샷. [KPG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사발신지=연합뉴스) 권훈 기자 = 나이를 잊은 박상현(42)이 신기의 퍼트를 앞세워 2년여 만에 한국프로골프(KPGA) 투어 대회 정상에 다시 올랐다.

박상현은 31일 경기도 광주시 강남300 컨트리클럽(파70)에서 열린 KPGA 투어 동아회원권그룹 오픈(총상금 7억원) 최종 라운드에서 버디 4개에 보기 2개를 곁들이며 2언더파 68타를 쳐 최종 합계 21언더파 259타로 정상에 올랐다.

통산 13번째이자 이번 시즌 첫 우승이다.

KPGA 투어에서 박상현보다 더 많이 우승한 선수는 최상호(43승), 박남신(20승), 한장상(19승), 최경주(17승), 최광수(15승) 5명뿐이다.

박상현은 2023년 제네시스 챔피언십 제패 이후 1년 10개월 만에 우승 트로피를 보탰다.

당시 40세이던 박상현은 40살 넘어서 벌써 두 번 우승했다.

체력과 근력의 중요성이 커진 현대 골프에서 40세를 넘기고도 경쟁력을 유지하기는 쉽지 않다.

올해 KPGA 투어에서 40대 우승자는 하나은행 인비테이셔널 챔피언 숀 노리스(43·남아프리카공화국)에 이어 박상현이 두 번째다.

우승 상금 1억4천만원을 받은 박상현은 통산 상금을 56억5천735만원으로 늘렸다.

KPGA 투어에서 가장 먼저, 그리고 유일하게 통산 상금 50억원을 넘긴 박상현은 이번 시즌에 사상 최초로 통산 상금 60억원 돌파도 바라보게 됐다.

박상현이 적어낸 259타는 2017년 티업·지스윙 메가 오픈에서 장이근이 세운 KPGA 투어 72홀 최소타 기록(260타)을 1타 넘어섰지만, 이번 대회는 젖은 페어웨이에서 볼을 집어 올려서 닦은 뒤 다시 원래 있던 자리 1클럽 이내에 내려놓고 치는 프리퍼드 라이를 적용한 탓에 공식 기록으로 인정받지는 못한다.

X
박상현의 홀아웃. [KPG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3라운드까지 버디 22개를 잡아내며 5타 차 선두로 최종 라운드에 나선 박상현은 큰 격차에도 모처럼 우승 기회에 마음이 설렌 듯 샷이 조금씩 흔들렸다.

2번 홀(파4), 4번 홀(파4) 버디로 순항한 박상현은 6번 홀(파4)에서 티샷을 왼쪽 언덕 아래로 보낸 탓에 이날 첫 보기를 적어내고도 6타차 선두를 달렸다.

하지만 박상현은 8번 홀(파4)에서 티샷을 또 왼쪽 언덕으로 날렸고 두 번째 샷은 뒤땅을 쳤다.

박상현에게는 퍼터가 있었다.

그는 11m 파퍼트를 집어넣었다. 그는 마치 우승한 듯 주먹을 불끈 쥐었다.

박상현은 9번 홀(파5)에서 세 번째 샷을 홀 1m 옆에 떨궈 한숨을 돌렸으나 10번 홀(파4)에서 3퍼트 보기를 적어내는 실수를 저질렀다.

거의 완벽에 가까운 경기를 펼쳤던 1∼3라운드와 달리 박상현이 흔들리는 틈에 이태훈이 맹추격에 나섰다.

특히 지난 4월 우리금융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던 이태훈은 9번 홀(파5) 이글에 이어 12, 13번 홀 연속 버디로 3타차까지 좁혀왔다.

박상현은 또 한 번 퍼터로 해결했다.

12번 홀(파3) 티샷이 프린지에 떨어졌고, 6m 거리에서 퍼터로 굴린 볼을 홀에 집어넣고 또 한 번 포효했다.

이태훈은 16번 홀(파3) 버디에 이어 18번 홀(파5)에서도 1타를 줄였지만 거기까지였다.

박상현은 14번 홀부터 18번 홀까지 6개 홀을 차분하게 파로 막아내고 2타 차 우승을 완성했다.

이날 이글 1개와 버디 7개를 쓸어 담아 9타를 줄인 이태훈은 2위(19언더파 261타)에 만족해야 했다.

5언더파 65타를 친 최승빈과 3타를 줄인 송민혁이 공동 3위(16언더파 264타)를 차지했다.

kh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