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 뇌파검사로 알츠하이머 고위험군 조기 식별 가능"
영국 바스대·브리스톨대 연구진 임상시험…"신약 효과 평가에 도움"
X
알츠하이머 신약 [게티이미지뱅크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기사발신지=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간단한 3분짜리 뇌파 검사로 알츠하이머 고위험군을 조기에 식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영국 바스대와 브리스톨대가 공동으로 한 소규모 임상시험에서 뇌파 검사 '패스트볼(Fastball)' 테스트는 경도인지장애(MCI)를 가진 사람 중 알츠하이머로 발전할 위험이 높은 환자를 가려냈다.
이 테스트는 사람들이 화면 속 이미지를 보는 동안 두피에 부착한 소형 센서가 뇌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한다. 사전에 본 이미지를 다시 볼 때 뇌가 자동으로 보이는 반응을 분석해 기억 문제를 탐지한다.
검사에는 건강한 성인 54명과 MCI 환자 52명이 참여했다. MCI 환자는 기억력, 사고력, 언어 능력에 문제가 있으나 일상생활에는 큰 지장이 없는 사람들이었다.
연구팀은 먼저 지원자들에게 이미지 8장을 보여주고 그 이름을 말하게 하고, 특별히 기억하거나 이후 찾아내라는 지시는 하지 않았다.
이후 수백 장의 이미지가 0.3초 간격으로 화면에 나타날 때 참가자들의 뇌파를 기록했다. 이미지 5장마다 앞서 보여준 8장 중 하나가 등장했다.
연구진은 알츠하이머로 진행할 가능성이 큰 기억상실형 MCI 환자들이 건강한 성인이나 비기억상실형 MCI 환자들보다 반응이 약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검사로 알츠하이머 진행을 확인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더 큰 규모의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가 입증되면 어떤 환자가 고위험군인지 조기에 파악해 신약 효과를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브레인 커뮤니케이션즈'에 실렸다. 연구진은 더 큰 규모로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검사를 개발한 바스대의 조지 스토다트 박사는 "우리가 알츠하이머 진단을 위해 설계한 새로운 수동적 기억 측정 방식은 아직 진단받지 않은 고위험군 환자에게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알츠하이머 연구단체 '알츠하이머 리서치 UK'의 줄리아 더들리 박사는 "기억 문제를 조기에 탐지하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는 연구가 이어지는 점은 고무적"이라며 "알츠하이머 신약은 발병 초기일수록 효과가 크기에 조기 진단은 환자들에게 혜택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ric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