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모더니즘의 선구자…'바다와 나비' 김기림 전집 출간
모든 저술 망라…현대 표기법 따른 수정본·주석 수록
X
김기림 전집 표지 이미지 [민음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사발신지=연합뉴스) 황재하 기자 = "아무도 그에게 수심을 일러준 일이 없기에 / 흰 나비는 도무지 바다가 무섭지 않다. // 청 무우밭인가 해서 내려갔다가는 / 어린 날개가 물결에 절어서 / 공주처럼 지쳐서 돌아온다. // 삼월달 바다가 꽃이 피지 않아서 서글픈 / 나비 허리에 새파란 초생달이 시리다." (시 '바다와 나비' 전문)
한국 문학계에 모더니즘을 소개한 선구자이자 '바다와 나비', '기상도', '오전의 시론' 등의 시를 남긴 시인 겸 문학평론가 김기림(1908∼?)의 모든 저술을 망라한 '김기림 전집'(전 3권·민음사)이 출간됐다.
1권은 김기림이 남긴 모든 시를 실었다. 시집 '기상도'(1936), '태양의 풍속'(1939), '바다와 나비'(1946), '새노래'(1948)를 발간 순서대로 수록했고, 시집에 싣지 못한 작품들도 담았다.
2권에는 시론과 평론을 모았다. 생전 단행본으로 펴낸 '시론'(1947), '시의 이해'(1950), '문학개론'(1946)의 내용은 물론 단행본에 묶이지 않은 평론도 신문과 잡지에서 모두 찾아 실었다.
3권은 수필집 '바다와 육체'(1948), '문장론신강'(1950), 단행본에 싣지 않은 산문, 신문 잡지에 발표한 소설, 희곡 등을 망라했다. 아울러 김기림의 연보를 부록으로 담았다.
세 권 모두 난해한 어구는 주석을 달고 현대 표기법대로 고친 수정본을 함께 실어 독자의 이해를 도왔다.
함경북도 출생인 김기림은 일본에서 영문학을 공부하며 서구 모더니즘 이론을 탐구해 초기에는 주로 모더니즘 시를 썼다. 한국 문단의 감상적인 낭만주의를 비판하며 차가운 이성을 강조하는 주지주의, 감각적 소재를 강조한 이미지즘이 특징이었다. 이 시기를 대표하는 '바다와 나비'(1939)는 푸른색과 흰색이 선명하게 대비되는 수작으로, 그의 시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졌다.
후기에는 점차 시대정신을 강조했으며 자본주의를 향한 비판 의식도 담아냈다. 이 시기에 쓴 '새나라송'(1948)은 산업 발전을 통해 부강한 독립 국가를 만들자는 메시지를 담은 시로, 2019년 문재인 당시 대통령의 광복절 경축사에 인용됐다.
김기림은 시뿐 아니라 평론도 높게 평가받는다. 시인 겸 문학평론가 송욱은 김기림을 두고 "그보다 훌륭한 시인은 이 나라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그보다 더 뛰어난 비평가는 이 나라의 시문학사에서 찾기 어렵다"고 평했다.
이처럼 한국 문학에 수많은 흔적을 남긴 김기림은 해방 후 월남했으나 한국전쟁 중 납북됐다. 이후 소식이 끊겨 북한에서 생을 마감한 것으로 추정된다.
민음사는 "이번 전집은 단순히 작품을 모으는 것을 넘어 학술적 가치와 대중적 접근성을 동시에 확보했다"며 "이번 전집 발간은 한국 문학사의 공백을 메우고 한국 모더니즘이 지닌 가치를 재조명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jae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